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해
신세
스페셜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논문을 발표했을 때는 이미 전 세계의 학자들이 X선의 발견을 알고 있었다. 크리스마스와
신년
휴가 동안 그의 논문이 심사되고 게재가 결정된 후 교정 및 인쇄를 거쳐 저자에게 우송함과 동시에 신문에 발표되기까지 이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X선의 발견이 준 충격은 그만큼 대단한 ... ...
“해양이야말로 21세기를 이끌어 갈 동력원
KIMST
l
2013.05.03
맡게 되어 더욱 분주히 지내고 있다. 때문에 그간 진행하던 연구사업을 정리하는 동시에
신년
을 맞이해 해양 정책연구소의 연구 방향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해양 부처가 신설되는 것에 맞춰 어떤 식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지, 해양 관련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체제를 갖춰야 하는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숏폼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얼마 전 마이크 갤러거 미국 하원의원은 올해 NBC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틱톡을 마약성 진통제에 빗대 ‘디지털 펜타닐’이라고 주장했어요. 숏폼이 마약과 같다니, 뭔가 무섭지 않나요? 실제로 틱톡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숏폼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사회 문제에 대해 ... ...
[전지적 독자 위원회] 1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남긴 ‘다채로움’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무려 100개가 넘는 아이디어가 올라왔습니다. 그중 11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투표를 통해
신년
특집과 표지가 탄생했죠. 다채로운 과학동아를 위해 애정을 담아준 전독위. 그래서 편집부는 이 기간 여러 선물과 혜택을 준비하기도 했습니다. 작년 9월 추석을 앞두고는 과학동아와 모트모트가 콜라보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많은 독자들의 아이디어가 보태져 지금 여러분이 보시는 특집 기사로 완성됐습니다.
신년
호부터 들어가는 연재 기획물 역시 마찬 가지입니다. 주태성 독자위원이 제안한 ‘SF 영화 나 소설 속 과학이야기’는 이번호부터 ‘SF영화로운 덕후생활’로 연재됩니다. 마침 영화 ‘아바타2’ 가 개봉해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독자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8월 과학동아 전지적 독자위원회 1기 독자위원들이 직접
신년
호 표지 후보를 제시했다. 11개로 좁혀진 주제들을 토대로 과학동아 편집부에서 기획안을 만들었다. 그리고 독자위원들이 기획안을 검토해 최종적으로 꼽은 주제가 바로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이다. 주제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과동은 왜 무덤이 되었을까?
포스팅
l
20230412
7년차입니다 ㅋㅎㅋ활동을 안해서....ㅌㅌ 음 진짜 몇년 전에는 새로고침 하면 글 옆에 붙어있는 댓글수가 몇개씩 쭉쭉 올라가고
신년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글이 너무 많아서 렉걸려서 컴에서도 접속안되었는데 신규분들은 잘 모르시겠지만굿컴 처음 생겼을때 정말 그야말로 난장판이였습니다 뭐 그거에 불만을 표하면서 개짓거리한사람도 잇구요(본인임) 캬 근데 ...
10000우절의 유래
기사
l
20230402
최종일이라고 생각되어서 그날 선물이 교환되었으며, 그중에는
신년
으로 바뀐것을 기뻐하지 않는 사람들이 성의없는 선물을 하거나
신년
연회의 흉내를 내서 장난을 친 것에서 유래됬는데,이것이 유럽 전체로 퍼져나갔습니다.이런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에 만우절이 생긴 것입니다.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https://m.te ...
[챌린지] 4월 1일 만우절의 유래 (1/8개)
기사
l
20230401
그런데 1564년, 프랑스의 샤를 9세가
신년
을 1월 1일로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잘 알지 못하고 여전히 4월 1일이
신년
축제의 최종일이라 생각해 그때 선물을 주고받았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가지고 비웃고 장난치기도 한 것이 지금의 4월 1일 만우절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프랑스 같은 외국이 아닌 ...
정월대보름의 풍속 1.
기사
l
20230205
지정하고 있다. 일부의 북유럽나라들의 민속에서는 1월 14일을 1년의 마지막 날이라는 사투리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
제1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세시풍속에서 달이 차지하는 비중은 태양의 비중이 문제되지 않을 만큼 강하고 큰 것이었다. 실제 농경을 위해서는 음력이 한 달씩이나 자연계절에 차이가 생길 ...
러시아의 크리스마스는 1월 7일이라고? 러시아의 크리스마스에 관해서
기사
l
20221107
문구가 쓰여져 있는것을 볼 수 있는데요 또한 우리는 흔히 크리스마스에 꾸미는 트리를 크리스마스 트리라고 부르는데, 러시아에선
신년
트리라고 부른다고 해요 러시아인들은 12월 25일부터 1월 6일까지 스뱌트키라 불리는 새해맞이 세시축일을 즐기기도 합니다 그 정점은 당연히 1월 1일, 새해이죠 12월 31일 밤이 되면 러시아인들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