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꾀
술책
모략
권모술책
권모술수
모해
모함
스페셜
기술표준원, 24개 신기술에 NET마크 인증
KOITA
l
2013.05.06
기술을 통해 고기능 쇽업쇼버의 국산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국내 자동차부품의 기
술수
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려 완성차 품질경쟁력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표준원은 국내기업 및 대학, 연구기관 등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조기에 발굴하여 신기술(NET)로 인증함으로써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7촌(약 14cm), 길이가 1.5척(약 31.1cm)인 그릇을 쇠로 제작했다. 측우기는 당시 천문지리
술수
를 담당하는 관청인 서운관 앞마당에 설치됐다. 서운관 관원이 자로 빗물의 양을 측정해 날짜와 날씨를 함께 기록해 보고하도록 했다. 각 고을에서도 서울에서 주조한 측우기를 본따 만든 빗물 그릇을 관청에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지식과 관련있다. 이 책에선 동아시아 문명의 한 줄기를 차지하지만 그간 배제됐던
술수
를 바르게 이해하는 시야를 제공한다.이로써 연구소는 총 30권에 한국 과학 문명사를 집대성했 다. 총서 제작을 기획한 뒤 12년 만에 이룬 성과다. 연구소는 영문 7권을 2023년까지 추가로 발간할 예정이다. 중국,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푸는 놀이와 퍼즐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섞어 버리면 결과가 무작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술사들은 이 점을 이용해
술수
를 부리죠. 카드 한 벌을 같은 양의 둘로 나눈 뒤, 양쪽에서 하나씩 교대로 엇갈리게 섞습니다. 이때 반으로 나누기 전 맨 위에 있던 카드가 엇갈려 섞은 후에도 맨 위에 있는 ‘바깥 엇갈리기’ 방법을 써 볼게요.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예언 같은 건 없었습니다. 예언이란 시간인 사기꾼이 원주민들을 우롱할 때 써먹는
술수
에 불과하죠. 이곳 문명인들 중 그런 사기에 넘어가는 사람은 없습니다. 손님이 여기 온 건 순전히 우연의 일치예요. 아주 이상하지도 않은 그냥 평범한 사건이지요.그 정미나 손님은 예언을 하신 게 아니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자고났더니 다른 차원으로 - 2화 멸종
포스팅
l
20211113
차원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실존했다.그중에는 우리와 완벽히 똑같은 평행세계가 존재한다.차원의 균열은 오직 "차원 파쇄기"로만 부
술수
있다.원하는 차원으로 가고싶다면 "차원설정기"를 "차원 파쇄기"에 달고 설정하면 됀다.하지만 빛나는 차원수정을 만졌다면차원의 균열이 보이고, 자고 일어나면 다른차원으로 이동한다.다시 원래대로 돌아갈려면 검(은) ...
자고났더니 다른차원으로 - 2화 집의 흔적
포스팅
l
20211113
차원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실존했다.그중에는 우리와 완벽히 똑같은 평행세계가 존재한다.차원의 균열은 오직 "차원 파쇄기"로만 부
술수
있다.원하는 차원으로 가고싶다면 "차원설정기"를 "차원 파쇄기"에 달고 설정하면 됀다.하지만 빛나는 차원수정을 만졌다면차원의 균열이 보이고, 자고 일어나면 다른차원으로 이동한다.다시 원래대로 돌아갈려면 검(은) ...
일제가 우리나라 문화재에 저지른 끔찍한 만행들!!
기사
l
20180130
사용되면서 '창경원' 이라고 불렸거든요. 왜 일제는 창경궁을 동물원으로 만든 것일까요? 바로 우리 궁을 격하시키려고 한 일제의
술수
였죠. 동물원을 만들면서 창경궁은 자연스럽게 훼손되었어요. 전각이 하나 둘 헐리고 그 자리에 동물 우리가 만들어졌죠. 게다가 일본의 국화인 벚꽃을 심기까지 했어요. 그리고 일반인에게 개방했죠. 왕과 신하만이 출입할 ...
소금 법정 대소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이 음식들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즐겨 먹는 음식군이잖아요! 그러니 저도 알게 모르게 소금에 길들여진 거죠. 이게 모두 소금의 악랄한
술수
에 넘어갔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소금을 모두 없애 버려야 합니다. 1998년에 비해 2005년에는 모든 연령층에서 소금 섭취량이 늘어났다. 점점 짠맛에 길들여져 더욱 더 짠맛을 선호하는 음식습관 때문이라고 볼 수 ...
홀라당~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13
쌍란은 본 적이 있어도 저렇게 위치가 뒤바뀐 달걀은 처음 본다니까요. 아니 도대체 저런 달걀이 어디 있답니까? 분명히 저 여자가
술수
를 부린 거라구요!” “아니. 쌍란도 있는데 왜 뒤바뀐 달걀은 없대? 이렇게 보고도 모르겠어욧?” “워워~, 두 분 다 고정하세요. 두 분 말씀이 다 일리가 있긴 있어요. 흠~, 일단 달걀에 대해 알아보는 게 순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