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놈
남성
수코양이
뉴스
[동물do감] "뭉치면 두렵지 않아"…보노보 암컷의 높은 서열 유지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아들의 아내와도 더 친하게 지내게 되면서 암컷 집단의 힘이 커진다"고 분석했다. 암컷이
수컷
에 맞서 팀을 형성해 힘의 균형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기울인다는 것이다. 서백 교수는 "그동안 과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보노보 사회에서 암컷의 힘이 나오는 근원에 대해 궁금해 했다"며 "그 답이 암컷 ... ...
야생 침팬지들의 '알코올 파티' 첫 목격…인간 '잔치' 기원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침팬지들이 선택하지 않은 과일은 나눠 먹는 과일보다 덜 발효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컷
침팬지 2마리가 알코올이 함유된 아프리카 빵나무 열매를 먹고 있다. Anna Bowland/University of Exeter 제공 알코올이 침팬지 대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아프리카에 살던 초기 인류의 ... ...
[동물do감] 새의 노랫소리에 성격 반영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제공. 새의 노랫소리에 성격이 담겨 있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암컷과
수컷
을 모두 포함해 새의 노랫소리와 성격의 상관관계를 살핀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다이앤 콜롬벨리 네그렐 호주 플린더스대 공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새의 노랫소리와 두 가지 성격 특성의 관계를 ... ...
'왕좌의 게임' 늑대 부활…1만2500년전 멸종 '다이어울프'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DNA를 분석해 다이어울프와 비슷한 늑대를 복원했다고 밝혔다. 태어난 늑대는 현재
수컷
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암컷인 칼리시까지 총 3마리다. 연구팀은 먼저 다이어울프의 1만3000년전 이빨과 7만2000년전 두개골 화석에서 DNA를 추출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늑대, 자칼, 여우 등 현대 개과 동물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목도리도요의 짝짓기 전략, 개체마다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6
안드로겐 수치가 중간 정도인 목도리도요는 '위성' 전술을 종종 사용했다. 연구팀은
수컷
목도리도요에서 안드로겐의 생성 차이를 유발하는 결정적인 유전자로 'HSD17B2'란 유전자를 지목했다. HSD17B2 유전자는 뇌와 생식선, 혈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전자와 상호 작용하며 다양한 활성 패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지도로 덩치가 큰 암컷(위 가운데)이 작은 암컷(위 오른쪽) 보다 활동 반경이 훨씬 넓고
수컷
도 마찬가지다(아래). 사이언스 제공 이들은 주로 어류나 파충류로 조직적인 무리 생활을 하지 않아 나이 든 개체가 그렇게 중요하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았다. 다만 나이가 들수록 덩치가 커지고 노쇠 현상을 ... ...
[동물do감] 생쥐도 '부익부 빈익빈'…어린 시절 행운이 평생 차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생쥐들은
수컷
처럼 어렸을 때의 사건들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
수컷
과 달리 자원을 놓고 경쟁할 필요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경쟁이 치열한 사회일수록 사회적 불평등이 더 커지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능력에 근본적인 차이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구 사용하는 해달, 더 큰 먹이 먹고 이빨 손상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섭취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돌고래와 침팬지, 보노보 등도 같은 이유로 암컷이
수컷
보다 도구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도구를 사용하는 사냥 방식은 새끼에게 전달되곤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해달의 도구 사용이 장기적으로 해달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만화뉴스]손톱만 한 물고기의 반전 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2월 26일, 독일 베를린 샤리테의과대학교병원 연구팀은 “몸길이가 12mm밖에 되지 않는 물고기 ‘다니오넬라 세레브럼(Danionella Cerebrum)’이 140dB(데 ... 근육이 이완되는 순간 갈비뼈 연골이 부레를 세게 치면서 큰 소리를 냈죠. 연구팀은 소리가
수컷
간의 서열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 ...
[숫자로 보는 뉴스] 기온 따라 변신?! 날개 무늬 바꾸는 나비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적의 눈에 띄지 않으려면 주변 식물들과 비슷하게 무늬 없는 갈색 날개가 더 좋지요. 단,
수컷
초원갈색나비들은 점이 많아야 암컷에게 잘 선택받을 수 있어서, 기온이 높은 곳에서도 날개 무늬를 바꾸지 않았어요. 용어 설명℃★ 우리나라에서 기온을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섭씨온도’의 ... ...
(광고)소니 더 헤지혹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마리를 같은 공간에 두면 서로 활동 영역이 겹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요. 특히나
수컷
은 서로의 영역 다툼을 하며 심한 경우 물어 뜯으며 싸우기도 하죠. 강아지는 꼬리를 흔들고, 고양이는 꼬리를 바짝 세우며 친밀함을 표현합니다. 고슴도치의 친밀도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나선다 1996년 7월, 영국에서 ‘돌리’라는 특별한 양이 태어났어요. 동물이 태어나려면
수컷
의 정자와 암컷의 난자가 만나야 합니다. 그런데 돌리는 정자 대신 완전히 자란 양의 체세포를 통해 복제됐습니다. 복제 양 돌리를 만든 방법으로 지금까지 소, 쥐, 돼지, 고양이, 개 등 20종이 넘는 복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다이어울프의 유전자 복원을 성공하다!
기사
l
20250412
유전자 편집 기술과 복제 기술을 활용해 복원을 했다고 합니다. 다이어울프의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 늑대는 총 3마리인데 두마리는
수컷
, 한마리는 암컷립니다. 이들의 이름은, 각각 로물루스와 레무스, 그리고 칼리시입니다. 모두 다이어울프의 특징인 순백색 털을 가지고있고 특유의 북슬한 털이 특징입니다. 출처: 콜로셜 바이오 사이언스 유튜브 캡쳐 출 ...
장수풍뎅이를 의인화 하고 모에화 한 캐릭터를 그려줘!
포스팅
l
20250328
..라고 챗GPT에게 말했습니다. 결과물은.. 이녀석.. 여잔가요 남잔가요.. 뿔은
수컷
인데 왜 캐는 여자일까요.. 근데 디자인 진짜x10 귀여워요 뿔만 지우면 괜찮을듯요 옷도 깔끔하면서 섹시하고.. (아 근데 여기 섹시하다는 표현 되나요 안된다면 지우고 원산폭격과 반성문 박겠습니다) ...
이색 반려동물 슈가글라이더
기사
l
20250227
아주 작은 동물이지만 활동량은 강아지와 비슷해요. 사회성이 매우 높아서 많은 시간을 함께하지 못할 것 같다면 암컷과
수컷
한 쌍을 같이 데려와주세요. 야행성이라 낮에는 주로 자요. 또 슈가글라이더가 날아다닐 수 있는 공간이 있는지도 꼭 확인해주세요! 케이지에서 키운다면 크기가 가로 60cm x 세로 60cm x 높이 120cm인 것으로 해주세요 ...
황제펭귄, 영하 80℃를 어떻게 버틸까?
기사
l
20250226
살벌한 추위를 버티기 위한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들끼리 모여 체온을 높이는 '허들링(Huddling)'입니다. 허들링은 알을 품는
수컷
황제펭귄들이 하는 행동이며, 1㎡의 공간에 펭귄 10마리 정도가 모인다고 합니다. 이렇게 군집한 펭귄들은 서로의 체온을 토대로 겨울의 추위를 견딥니다. 무리 안쪽의 펭귄들은 20℃ 정도를 느끼고, 바깥쪽 ...
넓적이를찾아서 - 250220 - 5
탐사기록
l
20250220
탐조 중 촬영한 비오리입니다.암컷이
수컷
보다 수가 더 많았습니다. 탐조 중 촬영한 중대백로입니다.별다른 특빙은 없었습니다.(촬영 지역은 대한민국 순천시 입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