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부정적 감정을 가라앉힐 수 있을까?: 인공지능 작성 기사와 인간 작성 기사가 수용자의 감정과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죠. 연구 결과, 대체로 AI보다 사람 기자가 전달할 때, 오디오보다 텍스트로 제시될 때 공포, 분노, 불안, 슬픔이라는 부정적 감정이 더 강하게 유발되었으며, 특히 AI 기자가 ... ...
- [기획] 가짜뉴스 퇴치, 너도 할 수 있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합니다. 미디어는 신문, TV 등 어떤 사실이나 정보를 담아서 수용자들에게 보내는 역할을 하는 매개체를 말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에 담긴 지식과 정보 메시지를 분석, 평가하며 이를 창조적으로 재생산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미디어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에 대해 알아봤다.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보다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 척도다. 그리고 혈연관계는 근연도를 양수로 만드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고 했다. 잠깐, 뭔가 이상하다. 포괄 적합도로 사회성의 진화를 설명하는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99%보다 더 높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정리하자.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근연도를 0보다 크게 만드는 여러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