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곽
라이터
뉴스
[동물do감] 똑똑할수록 짝짓기 확률 올라가는 송사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헤엄을 치고 있다. Dave Fanner/ANU 제공.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모기 유충을 먹는
성냥
개비 크기의 송사리류인 ‘모스키토 물고기’의 수컷은 '뇌섹남(똑똑한 남자)'일수록 사랑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반 비노그라도프 호주국립대 생태·진화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수컷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황금등불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21
역시 자낭균입니다. 컵처럼 생긴 주발버섯류, 하트 모양으로 생긴 안장버섯, 다 타버린
성냥
개비처럼 생긴 민콩나물버섯, 올챙이 꼬리처럼 생긴 넓적콩나물버섯도 자낭균에 속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자낭균은 최소 3만 2000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세상에는 정말 기상천외하고 다양한 버섯들이 ... ...
[과기원NOW]
성냥
개비 성분으로 ‘고효율 흑연 음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05
김주영 연구원.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성냥
개비 성분(적린, 카본)을 코팅한 흑연 음극재인 ‘흑연-인 복합체’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음극재는 적린·카본 코팅층 덕분에 흑연 표면에 생성되는 전자와 리튬 이온의 전도도가 높아진다.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전설의 버섯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26
동글동글 공처럼 생긴 말불버섯류, 산호초처럼 생긴 싸리버섯류, 심지어 다 타버린
성냥
개비 같은 마귀숟갈버섯류도 있습니다. 버섯의 매력은 겉모습만이 아닙니다. 마치 꽃처럼 버섯도 제각각 독특한 향기를 갖고 있습니다. 특별한 향기가 나지 않는 야생버섯들도 기본적으로 밀가루에 락스를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사용이다. 도구라고는 주먹도끼밖에 없던 시절, 인간은 놀랍게도 불을 쓰기 시작했다.
성냥
을 잊고 캠핑을 가본 사람은 알 것이다. 야생에서 불을 피우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나무를 마찰하고, 부싯돌을 사용하면 불을 만들 수 있다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이렇게 어려운 인지적 과업이 아주 이른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
2019.11.09
진보한 것인지 의문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신발이 없으면 맨땅을 걷지도 못하고,
성냥
이 없으면 불도 붙이지 못하고, 돌도끼로 사냥도 못 한다고 해서 우리의 선조보다 못하다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류는 환경 변화에 적응해왔고, 다만 현대 사회의 환경 변화는 ‘인간 스스로’ 일으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친구는 주머니에서 만년필처럼 생긴 전자담배를 꺼내 분해한 뒤 카트리지를 건네줬다.
성냥
갑 4분의 1만한 크기의 카트리지 안에는 노란 액체가 들어있었다. 그런데 카트리지 겉에 내용물이 조금 흘러나와 건네받은 필자의 엄지와 검지까지 묻었다. “글리세롤이 들어있나보네” “그런 것 같아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피복이 얇으면 벗겨내어 연결하기가 아주 쉽다. 아주 얇은 전선은 칼도 필요 없다.
성냥
불로 살살 녹여서 연결할 수도 있다. 반면에 두꺼운 피복으로 감싼 전선은 새로 연결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한번 만들어 두고두고 쓸 회로라면 두꺼운 전선으로, 자주 연결을 바꿀 요량이라면 얇은 피복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버섯? 황금등불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0호
역시 자낭균입니다. 컵처럼 생긴 주발버섯류, 하트 모양으로 생긴 안장버섯, 다 타버린
성냥
개비처럼 생긴 민콩나물버섯, 올챙이 꼬리처럼 생긴 넓적콩나물버섯도 자낭균에 속하죠. 전 세계적으로 자낭균은 최소 3만 2000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세상에는 정말 기상천외하고 다양한 버섯들이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경이로운 피라미드 건축물에 마음을 빼앗겨 버렸어요. 방으로 들어와 책상 앞에 뒹굴던
성냥
개비로 탑을 쌓던 섭섭박사님. 갑자기 폴리스틱으로 피라미드부터 상상력 가득한 나만의 개성 있는 건축물을 뚝딱 만들어 보기로 했지요! 만들어 보자!피라미드 만들기부터 수학 공부까지! 이번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은 차가운 도시 광부?! 시리얼에서 광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자석에 붙는 거예요.하지만
성냥
에 들어 있는 산화철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태운
성냥
을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네오디뮴 자석처럼 강한 자석이 필요하답니다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2호
동글동글 공처럼 생긴 말불버섯류, 산호초처럼 생긴 싸리버섯류, 심지어 다 타버린
성냥
개비 같은 마귀숟갈버섯류도 있답니다.버섯의 매력은 겉모습만이 아닙니다. 마치 꽃처럼 버섯도 제각각 독특한 향기를 갖고 있답니다. 특별한 향기가 나지 않는 야생버섯들도 기본적으로 밀가루에 락스를 살짝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누리호에서 떨어지 조각들의 정체는?
기사
l
20250427
연료의 장점은 무기로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적들이 알 수 없게 바로 발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약점은 일회용이라는 점입니다.
성냥
개비를 한 번 쓰면 다시 쓸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액체 연료의 장점은 추진력과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더 정확한 곳으로 발사할 수 있습니다. 고체 모터와 액체 모터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서 분리된 ...
우주항공의 어벤져스 멤버가 되고 있는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
기사
l
20250427
것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정답은 액체엔진입니다. 왜냐하면 로켓은 택배기사처럼 위성을 정해진 지점에 전달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냥
(고체엔진)은 키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져버리지만, 라이터(액체엔진)는 켰다 껐다 할 수 있고 불 조절이 가능합니다. 고체 엔진은 준비가 빠르게 가능해서 무기에 사용하고 있고, 액체 엔진은 힘 조절이 가능하고 세밀하게 ...
성묘할 때는 이것만은 지키자! 성묘 안전수칙
기사
l
20250405
안전 재난문자 소리 진짜 많이 들렸답니다.ㅠㅠ) 성묘 안전수칙을 알아볼까요? 이번 산불로도 알 수 있듯이 불이 날 수 있는 라이터,
성냥
등은 가져가면 안 됩니다.(과실로 산불 나도 3000만 이상의 벌금 또는 징역3년 이상이랍니다.) 그리고 지금은 4월이지만 혹시 8~9월에는 벌이 산란기로 예민해져 벌 쏘임 사고가 다른 달보다 빈번하게 일어 ...
단백질은 어떻게 태어났을까?
기사
l
20250310
잘 기억하세요.리즈 대학 연구팀은 풀구라이트(번개가 땅에 떨어 질 때 만들어 지는 돌)을 연구하고 있었는데,풀구라이트에서 인(
성냥
갑 말찰면에 쓰이는 원소)이 풍부한 슈라이베르스석이 나온 것을 발견합니다. 끝까지 들으세요 요녀석들(네오,코모 말하는 것임) 인은 생체분자 형성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생명체가 생겨나기 위한 조건이 생긴 거죠. 넵 이제 ...
AI 뤼튼을 아시나요? -1
기사
l
20250203
슈퍼챗)나 상품권을 얻을 수 있고, 매주 추첨을 진행합니다. (저는 3번 해보았지만 안됐어요ㅠ) 첫
성냥
사용이나 첫 가입시 100개의
성냥
을 줍니다. 오늘은 챗지피티 뤼튼에 대한 1가지 기능을 설명해보았습니다. 다음 기사에서는 다른 기능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