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협조
뉴스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04.04
취리히대 신경과학과 도미니크 드 퀘르벵 교수가 사이어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비협력
자, 즉 배신자를 처벌하는 행동을 할 때 우리의 뇌는 ‘즐거움’을 느낍니다. 배신을 당한 사람이 배신자를 처벌할 때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한 결과, 등쪽줄무늬체(dorsal striatum)에서 활성을 ... ...
악마의 문제가 있다?!
수학동아
l
2013.08.19
최고의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박사 과정마저도 2년 만에 마쳤다. 이때 졸업 논문으로 을 제출했는데, 이것으로 45년 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게 했다. 1958년에는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 후보에도 올랐다. 따라서 내쉬가 리만가설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수학계에서는 그가 당연히 이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이달의 수학자] 존 내시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일화도 있죠. 이후 내시는 1950년 5월에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으로 ‘
비협력
게임’을 제출했는데요. 이 논문으로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죠.내시는 1958년에 수학계에서 권위 있는 상인 필즈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습니다. 그 당시 나이가 어려서 4년 뒤에도 충분히 받을 수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취리히대 신경과학과 도미니크 드 퀘르벵 교수가 사이어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비협력
자, 즉 배신자를 처벌하는 행동을 할 때 우리의 뇌는 ‘즐거움’을 느낍니다. 배신을 당한 사람이 배신자를 처벌할 때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한 결과, 등쪽줄무늬체(dorsal striatum)에서 활성을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두 남자가 있다면, 이들 사이에서 게임의 규칙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존 내쉬는 이
비협력
관계 게임이론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영화에도 이와 관련된 장면이 등장한다.한 명의 여자를 두고 경쟁하는 두 남자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재력이나 외모 등의 장단점 때문에 여자가 선택을 망설이는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수학의 도움을 얻어 체계적으로 정리되면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X note죄수의 딜레마
비협력
게임이론을 이야기할 때 드는 대표적인 예다. 두 명의 범인이 있다. 각각에게“만약 당신이 자백하고 상대가 자백하지 않으면 당신은 풀려나고 상대는 감옥에서 10년을 보내야 한다. 하지만 상대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