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개
전
변천
영고
성쇠
스페셜
[만화] 체했을 때 바늘로 손가락 따면 낫는다?!
KISTI
l
2015.09.24
놀라운 기적이 일어나곤 한다. “아이고, 잘 묵네. 구여운 내 강아지. 송편두 먹구,
부침
개두 먹구, 갈비두 먹구, 불고기두 먹구, 오구오구” “네! 할머니 분부대로 따를게요~. 아빠보다 훨씬 더 많이 먹을 수 있는 위대한, 그러니까 위(胃)가 엄청 대(大)한 손녀가 돼서, 청출어람이 무슨 뜻인지 꼭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시작됐습니다. 국제유가가 오르락내리락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석유 관련 사업들은
부침
이 심해질 것입니다. 석유화학기업들은 이미 위기감을 피부로 느끼고 있지요. 석유 수급이 곤란해지기 전에 바이오연료 개발을 서둘러야 원료 고갈에 따른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바이오연료가 ... ...
“해양이야말로 21세기를 이끌어 갈 동력원
KIMST
l
2013.05.03
전 달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해양 관련 부처는 설립됐다가 통폐합되는 등 그
부침
이 심했다. 그러나 더 이상 이 런 식으로 해양 행정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라도 학회 차원에서 해양 행정에 대 한 학문적 백그라운드 및 실질적인 근거를 찾아 주겠다. 또한 해양 행정 업무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다. 거대과학 프로젝트가 준비 단계에서
부침
을 겪은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CERN의 대형 강입자충돌기(LHC)의 완공 일정도 수 차례 연기됐고, 미국의 초전도 슈퍼입자가속기(SSC)는 건설 도중에 계획이 폐기된 사례가 있다. 홍승우 소장에게 우리가 거대과학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했다.서울대 공대엔 12개 학과·학부가 존재한다. 모두 중요한 분야지만 시기에 따라
부침
이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이 여러 해째 유행하며 컴퓨터과학 관련 전공이 인기를 끌고 있다.일각에서는 이런 인기 학과 정원을 중심으로 학제를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학장은 ... ...
[헷갈린 과학] 똑같은 콩인데, 뭐가 다르다고? 순두부 VS 판두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수퍼마켓에 가면 두부 종류가 참 많아요. 부드러운 순두부와 연두부, 찌개용 두부,
부침
용 두부까지 다양하지요. 이들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던 적 있나요? ... 응고제 종류와 양에 따라 두부의 부드러운 정도 등이 조금씩 달라져요. 찌개용 두부보다
부침
용 두부가 좀더 단단하답니다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988년 국내 최초로 3차원(3D) 프린터를 만들며 선도적인 연구에 앞장섰다. 하지만
부침
도 있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 KAIS는 19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현재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와 통폐합을 시도했지만 8년 만에 실패로 돌아섰다. 현재 두 기관은 각각 독립된 기관으로 남아 있다. 2000년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요리스타 금예원 이 음식은 저희 엄마께서 만드신 '불고기 전'인데요, 이번에는 제가
포스팅
l
20150709
@요리스타 금예원 이 음식은 저희 엄마께서 만드신 '불고기 전'인데요, 이번에는 제가 직접 만들어 보았습니다. 퍽퍽한 고기를 통해 만들 수 있어서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 1. 고기를 잘 익힙니다. 2. 잘 익은 고기를 칼로 다집니다. 3. 다진 고기에 당근과
부침
가루를 넣어서 반죽을 만든 후,
부침
옷(계란옷)을 입힙니다 ...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맞이하여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태극기 휘날리며~~~
기사
l
20141103
11월 3일로 정했다고 합니다.기록에 의하면,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은 1953년에 ‘학생의 날(學生-)’이라는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이래
부침
을 거듭하다가, 2006년 2월 9일 국회에서 ‘학생독립운동기념일(學生獨立運動記念日)’로 명칭 변경이 의결되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삼일절과 광복절 외에 독립운동 기념일이 있는 줄은 저도 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