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첨부
고정
접착
접합
유착
첨가
결합
뉴스
[동물do감] 노랑배박새, 이혼하기 전 겸상부터 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사회적 상호작용 데이터 3년 치를 활용해 이혼의 징후를 분석했다. 각 개체와 먹이통에
부착
된 무선인식센서(RFID)를 활용해 새들이 어떤 개체와 주로 상호작용하는지 파악한 것이다. 상호작용 데이터는 이전과 다음 번식기에 실제로 짝을 이룬 결과와 비교됐다. 분석 결과 이혼한 노랑배박새 커플은 ... ...
나뭇잎이 전기 생성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살아있는 잎에서도 이온 제벡 효과를 통해 전기를 생성했다. 살아있는 잎에 전극을
부착
하고 빛을 비추자 안정적인 전압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연구팀은 이온 제벡 효과로 에너지가 변환되는 과정에서도 잎의 생리적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자연 ... ...
잠든 뇌 속 ‘세척 작용’ 실시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방식이다. 연구팀은 수분 변화에 민감한 무선 근적외선 분광기를 개발했다. 이마에
부착
한 상태로 700~10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파장의 근적외선을 투과시켜 산란된 빛의 흡수율을 분석하는 장비다. 뇌 수분량과 산소포화도, 혈류량을 계산한다. 혈류량의 영향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 ...
[과기원NOW] GIST, 청렴한(寒) 날 행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행사에 임기철 총장과 정성호 교학부총장이 참석해 청렴 메시지가 담긴 스티커를
부착
한 쿨링패치와 아이스크림을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전달하며 청렴 실천의 의미를 나누고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21일 GIST 제1학생회관 앞 광장에서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청렴한(寒) 날 -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UNIST, 전고체배터리 단락 전조…센서 붙여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압력센서와 2개의 변위 센서를 배터리 셀에
부착
해 수지상을 조기에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지난달 10일 온라인 공개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경수 화학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그라함 ... ...
[과기원NOW] 포스텍, 새 촉매로 그린 암모니아 생산효율 63% 개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자율주행 로봇 개발 전문기업 트위니가 제작한 자율주행 로봇에 햅틱 디바이스를
부착
해 전시 공간 내에서 시각장애인이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관람 경로를 안내한다. 개인 보행 속도에 따라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 접근성 지원 기술을 선보인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최소 침습 수술이 가능하다. 또 사람의 손은 두 개밖에 없지만 로봇에는 팔을 여러 개
부착
할 수 있으므로 여러 부위를 동시에 처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람 손으로는 미세한 부위를 작업하기 어렵고 또 떨림이 있는 경우 조절이 더 어렵지만 로봇수술은 출혈과 통증을 줄이고 외과의사의 손 떨림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구 사용하는 해달, 더 큰 먹이 먹고 이빨 손상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있다는 이야기다.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 사는 해달 196마리에게 인식를
부착
해 이들의 도구 사용 양상과 식이 패턴 그리고 치아 건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도구를 사용하는 해달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해달보다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섭취할 수 있었다. 먹이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상 인터뷰] 체르노빌 늑대, 암 회복력이 생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조사했어. 우리 늑대에게 방사선량 측정기가 장착된 위치 측정장치(GPS) 목걸이를
부착
했고, 혈액도 채취해 갔지. 분석 결과 늑대는 사람의 1일 법적 안전 한계치보다 6배나 높은 방사선량인 0.1128mSv(밀리시버트)●에 매일 노출됐지만 놀라운 세포 회복력으로 몸에 별다른 이상이 없었어. 그게 어떻게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장치는 뇌 신호에서 필요한 운동 자극을 추출한 후, 척수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척수에
부착
된 신경 자극기는 전송받은 신호를 다시 신경 자극으로 변환한다. 끊어진 척수를 대신해 디지털 브릿지를 통해 뇌 신호를 다리로 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디지털 브릿지가 보여준 결과는 고무적이었다.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두께는 머리카락의 10분의 1 정도로 아주 얇으며, 실 하나당 뇌파를 읽는 전극이 16개씩
부착
돼 있다. N1 임플란트 칩 한 개에 1024개의 전극이 달린 셈이다. 이 칩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어서 외부에 뇌파를 전달하기 위해 따로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뉴럴링크 연구진은 피실험자의 두개골에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혈당이 치솟는 걸 가만히 앉아 지켜보기가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아 참, 그리고 CGM은
부착
할 때보다 뗄 때가 더 아팠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주 강력한 접착제가 도포돼 있다는 걸 마지막날에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붙일 거야?” CGM을 떼는 날 주변에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탐방기 - 우주개발 현장을 가다
기사
l
20250706
열 손실을 방지하는 우주용 단열재입니다. 조립 과정에서 체리픽커(이동식 작업대)를 이용해 연구원들이 아리랑 7호에 직접 MLI를
부착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매우 정밀하고 조심스러운 작업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위성 발사 전 필수 과정, 발사 환경 시험 위성은 발사 전 다양한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발사 시 충격을 견디는 진동 시험, 우주 환 ...
청계천에 어떤 물고기가 살고 있을까?
기사
l
20250521
점이 붕어와 가장 큰 차이점 돌고기 : 주둥이가 돼지코 모양이라 원래 돈고기로 불리었지만 돌고기로 바뀌었음. 입이 앞을 향해 있고
부착
조류를 뜯어 먹음. 우리나라 민물고기 중 해외에 기록된 최초의 종. 모래무지 : 이름 그대로 모래가 있는곳에 삼 미꾸리 : 물이 천천히 흐르고 바닥이 펄하고 진흙으로 된 지형을 좋아함. 산소가 부족해도 살 수 ...
2025 K-관광섬 흑산도 탐조대회
기사
l
20250510
희귀한 경험인 가락지
부착
하는것을 직접 보고 가락지가
부착
된 조류를 날려주는 경험까지 할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락지
부착
사업은 철새의 이동 경로, 번식지, 개체수 변화 등 다양한 생태학적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일입니다. 또한 여러가지 동정 포인트를 말씀해 주셨고 진경순 연구원님이 직접 하신 박제도 구경할 수 있었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
기사
l
20250503
계획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중 아까 본 다누리는 나사에서 만든 탑제체를 실고,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섀도우 캠도
부착
되어 있습니다. 이 섀도우 캠이 중요한 이유는 아르테미스 계획은 달에 사람을 보내는데 그치지 않고 정착시키는 것까지 목표를 둬 물이 필요하기때문에, 달의 크레이터 중 햇빛이 들지 않은 영구음영지역에서 물 (얼음) ...
하..일회성 단역(어쩌면)주제에 진짜
포스팅
l
20250314
2673.000.000명 구독자 기념영상 나오는 모자쓴 0너무 귀여운데 불쌍해요ㅠㅠ역시나 바로 최애되고ㅠ..0도 인형 내주면서 얘도 재현할 수 있게 모자도 따로 탈
부착
으로 있음 좀 좋을것 같아요.아님 얘 숭배(?)하게 저 모자 따로 굿즈로 팔거나..전 키링으로 만들어서 달고다니고 싶네요.그나저나 의인화그림대회 2라운드 재출할 애는 네루할까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