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원
마도로스
승무원
선인
사공
뱃사공
수부
d라이브러리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결정되기 때문이지요. 이 바람은 순우리말로 ‘하늬바람’이라고 해요. 날씨가 중요한
뱃사람
들이 바람에 붙인 이름이에요. ‘샛바람’은 동풍, ‘마파람’은 남풍, ‘된바람’은 북풍을 뜻한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공기의 흐름을 설계한다! 음압병실’ 지난해 12월, 중국 후베이성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주위를 둘러보아도 보이는것이 수평선뿐이라면요? 옛날
뱃사람
들이 위치를 찾는데 이용한 것 중 하나는 북극성이에요. 북극성은 항상 북쪽 밤하늘에 떠 있으니, 하늘이 흐리지만 않다면 북극성을 기준으로 항로를 잡을 수 있었죠. 낮에는 나침반을 사용하면 돼요.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별을 보면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계절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뱃사람
들은 북극성을 보고 북쪽이 어디인지 파악한 후, 올바른 방향으로 배를 몰 수 있었어요. 고대 이집트의 농부들은 나일강이 범람할 시기가 되면, 하늘의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새벽에 동쪽으로 떠오른다는 ...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하지 못했지요. 한편 콜럼버스는 바람과 파도를 아주 잘 아는
뱃사람
이었어요. 그는 편서풍을 피하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갔지요. 그 다음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 대륙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답니다. 바람은 지금도 여전히 대륙을 오가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인생 책 챌린지] < 보물섬 > 내가 좋아하는 모험 이야기!
기사
l
20241117
여관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 여관에 하루는, 얼굴에 사브르(칼의 종류)에 베인 것 같은 상처가 있는
뱃사람
이 찾아왔습니다. 그
뱃사람
은 자기를 선장이라고 불러달라고 했어요. 그는 호킨스 가족의 여관에 묵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왼쪽 손가락 두개가 없는 사람이 찾아와 음흉한 목소리로 선장을 보았냐고 물었습니다. 그리고 선 ...
여러가지 암호에 대해 알아보자!(1탄)
기사
l
20201203
_. ./정답:가자) 2.수기신호 수기신호는 몸으로 보내는 암호이기 때문에 소리를 안 내고 자신의 뜻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수기신호는
뱃사람
들이 많이 사용했고, 영화 가짜 사나이에 나왔습니다. 3.지문자 지문자는 수화랑 비슷하지만 수화보다 더 간단하고 빠릅니다. 지문자는 수기 신호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면 됩니다. 지문자의 정의는 시 ...
[가야본성 칼과 현] 삼국시대에 가야는 왜 빠졌을까?
기사
l
20200217
탑은 아유타국(인도)의 허황옥이 안전을 빌며 실고 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탑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입니다. 그러나 많은
뱃사람
들이 자신의 안전을 위해 조금씩 파편을 떼어가서 당시의 모습과 많이 달라졌다는 것이 몹시 아쉬웠습니다. 허황옥은 전해오는 가장 오래된 다문화 가족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인지 가야는 주변 나라와 공존과 ...
북극성을 중심으로 별들이 도는 이유
기사
l
20160511
별들이 중심으로 도는 듯한 북극성은 작은곰자리의 꼬리별입니다. 옛날
뱃사람
들이 나침반 대신 보며 길을 찾았던 별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북극성을 중심으로 별들이 도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었일까요? 바로 '북극성이 지구의 자전축 바로 위쪽에 떠 있기 때문'입니다. 위 사진과 같은 원리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기사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