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파제
뉴스
잼버리 열렸던 '새만금'에 폭염·모기가 기승을 부린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30
충분한 순환이 이뤄지기 어려워요. 장일한 아주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는 “
방조제
안팎의 수위 차가 크지 않아 배수갑문을 열어도 물이 많이 이동하지 않는다”고 원인을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이를 해결하려면 바퀴 모양의 수차를 회전시켜 물이 공기와 많이 접촉할 수 있게 하거나 물 ... ...
버려지는 탄소섬유 해상태양광 설비로 재탄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대비 20% 이상 저렴했다. 연구팀은 해상부력체 시제품 제작에 착수했고 현재 전북 새만금
방조제
내해에서 현장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김 수석연구원은 "저품질 탄소섬유를 활용한 해상부력체는 사용기간이 끝난 후에도 동일한 기술로 품질을 높여 재사용 가능하다"며 "향후 탄소섬유 표면처리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건설을 계획했었다. 가로림만은 시화호의 2배 규모였고, 강화도·장봉도·용유도를 잇는
방조제
를 활용하는 인천만에는 시화호의 5.2배나 되는 1.32기가와트(GW)의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건설비도 시화호의 10배를 훌쩍 넘어서는 4조원을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녹색성장을 위한 조력발전은 ... ...
지구의 바다 0.5%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로부터 직접적 영향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지어진 새만금
방조제
의 모습이다. 인간이 바다에 지은 각종 구조물들이 전 세계 바다 0.5%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새만금개발공사 홈페이지 인간이 만들어 바다에 놓은 교량, 석유 시추, 항구, 양식장 등 각종 구조물들이 지구 바다의 0.5%에 달하는 면적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건설을 계획했었다. 가로림만은 시화호의 2배 규모였고, 강화도·장봉도·용유도를 잇는
방조제
를 활용하는 인천만에는 시화호의 5.2배나 되는 1.32기가와트(GW)의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건설비도 시화호의 10배를 훌쩍 넘어서는 4조원을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녹색성장을 위한 조력발전은 ... ...
지구의 바다 0.5%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로부터 직접적 영향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지어진 새만금
방조제
의 모습이다. 인간이 바다에 지은 각종 구조물들이 전 세계 바다 0.5%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새만금개발공사 홈페이지 인간이 만들어 바다에 놓은 교량, 석유 시추, 항구, 양식장 등 각종 구조물들이 지구 바다의 0.5%에 달하는 면적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그 또한 농업용수 수질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었지요. 현재는
방조제
가 완공되고도 해수호로 유지하고 있는 화성호를 담수화해서 용수를 이용하자는 계획이 있어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화성호를 담수화할 경우 시화호와 같은 전철을 밟을 것을 우려하고 있어요. 지금은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②] 바다로부터 얻는 청정에너지, 조력․조류와 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14.07.28
시작한 시화조력발전은 원래 시화만에 농·공업용지 및 휴식공간을 조성할 목적으로 시화
방조제
를 구축해 담수호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수질문제로 담수호 계획을 포기하고 해수호로 유지하기로 한 이후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시설용량은 254MW급의 세계최대 조력발전소로 연간 5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않도록 물이 들어오는 입구를 바위와 돌 덩어리 등을 쌓아 만든
방조제
로 막습니다. 이후
방조제
안쪽의 바닷물을 적절히 빼면서 바다를 모래로 메우는 ‘매립’을 하면 바다를 육지로 만들 수 있답니다.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바다를 매립할 만큼 많은 양의 모래를 구하는 ...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있지만, 충분한 순환이 이뤄지기 어렵죠.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
방조제
안팎의 수위 차가 크지 않아 배수갑문을 열어도 물이 많이 이동하지 않는다”고 원인을 설명했어요. 이어서 “이를 해결하려면 바퀴 모양의 수차를 회전시켜 물이 공기와 많이 접촉할 수 있게 하거나, ... ...
[가상 인터뷰] 버려지는 탄소섬유, 태양광 설비로 제2의 인생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잘 버티게 됐지. 그럼 바다에서 너를 만날 수 있어?연구팀은 전라북도 새만금
방조제
안쪽 바다에서 현장 실증을 추진하고 있어. 내가 2m 높이의 파도도 견디고 실제 바다에서 20년간 쓸 수 있는 안정성을 갖췄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지. 김광석 연구원은 “재활용 탄소섬유를 대용량으로 제작할 수 ... ...
[인포그래픽] 1억 2천만 년 전 한반도의 유산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008년 경기도 화성 전곡항 탄도
방조제
를 걷던 한 공무원의 눈에 이상한 암석이 띄었다. 암석에는 동물의 하반신 골격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공룡화석, 그것도 그간 발견되지 않았던 신종이었다. 이 공룡에는 ‘화성에서 발견된 한국의 뿔공룡’이란 뜻의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oreaceratops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새사모 - 230430 - 4
탐사기록
l
20230430
화옹호
방조제
안쪽 습지에서 발견한 장다리물떼새입니다. ...
새사모 - 230430 - 3
탐사기록
l
20230430
화옹호
방조제
안쪽 습지에서 관찰한 북방검은머리쑥새입니다. ...
새사모 - 230430 - 2
탐사기록
l
20230430
화옹호
방조제
안쪽 습지에서 관찰한 발구지입니다. ...
새사모 - 230430 - 1
탐사기록
l
20230430
화옹호
방조제
안쪽 습지에서 관찰한 청다리도요입니다. ...
생태계교란 생물의 위험성을 알아보자!
기사
l
20200501
전문적인 처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환삼덩굴 -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6. 가시상추 가시상추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도로변,
방조제
, 항구 등에서 주로 생육하며 발아속도가 빠르고 제초제에 저항성이 강해서 작물 재배지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우리가 먹는 상추와 이름이 비슷해서 익숙한 느낌이 드는 식물이지만 아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