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교수님의 ‘플라스틱 쓰레기로 고통받는 해양 생물 이야기’가 이어졌어요. 예를 들어 바다새 ‘알바트로스’는 새끼에게 줄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왕복 4000km를 이동해요. 그런데 연구 결과, 이만큼 이동해서 물고 온 먹이가 고작 플라스틱 병뚜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해요! “알바트로스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없었지만, 그럼에도 일행은 항해했다. 기적이 일어났다. 항해 15일 뒤인 5월 8일, 일행은 바다새 가마우지를 만났다. 섬이 있다는 뜻이었다. 5월 10일 오후, 드디어 배가 해변에 상륙했다. 하지만 이곳도 최종 목적지는 아니었다. 근처에 있는 포경선 기지로 어떻게든 가야 했다. 닷새 뒤 일행은 다시 ...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점점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미생물의 분포도 달라졌고, 베링해 등 남쪽에 살고 있는 연어, 바다새, 회색고래, 물범 같은 동물들도 먹이를 따라 뷰포트해 동쪽과 북쪽으로 이동했다. 이를 먹이로 삼는 북극곰도 따라 이동했음은 물론이다. 극지생물학자들은 기후 변화에 재빨리 반응하는 미생물을 ...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과학동아 l2005년 08호
- 의 갈라파고스를 꿈꾸며형형색색의 바위는 하리아도마뱀과 갈가마귀, 갈매기, 코리섬새(바다새의 일종)를 포함한 300종 이상의 이끼류와 생물들의 보금자리다. 이런 독특한 환경을 찾아해마다 수많은 지질학자나 식물학자, 동물학자, 그리고 화산학자들이 몰려든다.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브렌트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