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가
예술가
화백
아티스트
예능인
예술인
예인
d라이브러리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CG를 위한 배우들의 열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마치 컴퓨터 화면이 렉에 걸린 것처럼 픽셀이 깨진 모습을 하고 있어요. 이 그림은 현대
미술가
인 이지현 작가의 유화 작품입니다. 작가는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이미지 GIF를 보면서 매일 비슷한 일상을 사는 우리 현대인들의 삶을 떠올렸다고 합니다. 반복되는 GIF에 균열을 주며 작품에 의미를 ... ...
[수학뉴스] 가지치기에 숨은 수학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천재 과학자이자
미술가
였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500여 년 전 나뭇가지가 뻗어나가는 규칙을 설명하는 ‘나무의 법칙’을 발견했어요. 그런데 최근 러시아 연구팀이 여기에 새로운 연구 결과를 덧붙였습니다. 나무는 자라면서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닮은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되는 ‘프랙털’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외에도 KIST가 수림미술관과 함께하는 프로젝트에도 3회째 고정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미술가
와 과학자가 6개월간 함께 작품을 만드는 이 프로젝트에서 그는 과학과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동안 딱딱하게 느껴졌던 과학적 사실이 사실은 훌륭한 미술 ... ...
[특집]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방법, 즉 ‘증명법’은 지금까지 약 400가지가 알려졌지요. 그중에는 천재 과학자이자
미술가
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국 제20대 대통령인 제임스 가필드, 우리나라의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의 방법도 있어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 계산으로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만, 색종이와 가위만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학교 생활 하며 가장 자주 만나는 연필에 대해서 알아봐요.
기사
l
20210510
넣는 지금 같은 연필의 형태가 되어 널리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18세기 들어 연필에 넣을 만한 얇은 흑연을 찾기 힘들어져 프랑스
미술가
이자 화학자인 니콜라 자크 콩테라는 사람의 주도로 흑연 분말과 점토를 혼합해 구워내는 방법이 발명되어 연필을 평범한 사람들도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필의 장점과 단점 장점:볼펜보다 싸고,쉽게 쓰고 쉽게 ...
과학수사
포스팅
l
20210113
몇백 년 수천만 년이 지난 뼈를 통해 신상정보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생김새,나이 등도 알수 있습니다 2.법의학
미술가
법의학
미술가
는 뼈만 보고도 생김새를 알고 복원 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런데 단순히 뼈에 피부를 덮는 것이 아니라 근육도 입히고 피부를 덮는 다고 하네요3.프로파일러 프로파일러는 주변의 사람들에게 그사건에 ...
국립중앙박물관 리뷰
포스팅
l
20190605
건데 안보이지만 밑에는 원기둥 모양의 커다란 통에 먹물을 가득 담아 뒀어요(의미가 있는듯) 이 전시실을 디자인한 사람이 설치
미술가
라던데 역시 bb 하나밖에 안보내준 유물짤! 신라 금관 영롱하죠? 교과서에서 많이 봤죠? 반 단체 사진! 사진 상품으로 오만원짜리 도서상품권 받기는 글렀지만 찍은 입구에서의 사진입니다~ (컨셉) 음 ...
땡땡의 모험 속으로
기사
l
20190223
1983년 에르제의 죽음을 보도한 리베라시옹(자유)신문 '땡땡은 나의 작품세계에 디즈니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라고 한 미국 현대
미술가
앤디 워홀이 땡땡 50주년 탄생기념으로 선물한 에르제 초상화 앞에서. 1930년 [소비에트에 간 땡땡]부터 1976년[땡땡과 카니발 작전]까지 모두 24권이 출간돼 60개국에서 50개 언어로 번역된 ...
규칙적인 반복으로 창조를 이루다! 테셀레이션!!!
기사
l
20180708
‘테셀레이션’ 이라는 내용을 배워 좋은 정보가 될 것 같아 올립니다. 테셀레이션은 네덜란드에 테셀레이션 전문가이자
미술가
‘에셔’라는 사람이 반복되고 규칙적인 그림을 이용하여 그림을 바탕으로 테셀레이션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테셀레이션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 이유는 테셀레이션은 자연 속에도 숨어있기 때문입니다. 원리는 아래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