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육지
지상
대륙
토지
국토
지면
스페셜
마침내 가동한 경주 방폐장,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6
철로 제작된 특수 운반용기에 드럼을 8개씩 넣은 뒤 선박에 싣는다. 한진 청정누리호가
뭍
에 닿으면 여기서부터 방폐장까지 4.7km 정도의 짧은 육상 이동이 시작된다. 폐기물 하역장인 ‘월성원전물량장’은 월성 원전과 붙어 있다. 폐기물이 이곳에 도착하면 크레인이 선박에서 특수 운반용기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돼서야 육지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파충류는 이런 한계를 극복해냈습니다. 건조한
뭍
에서 태아를 보호할 ‘양막(amnion)’이라는 기관을 만들어낸 덕분입니다. 파충류는 양막으로 태아를 물과 함께 감쌌습니다. 여러분들이 한 번쯤 들어봤을 양수가 바로 양막에서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물입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3호
양서류 ‘두(兩) 곳에서 사는(棲) 무리(類)’라는 뜻의 양서류는 말 그대로 물과
뭍
에서 살 수 있는 척추동물입니다. 어릴 적에는 아가미로 수중호흡을 하며 물에서 살다가, 자라면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하며 육지와 물을 오가며 살지요. 그렇다고 양서류가 육지 어디에서나 살 수 있는 것은 ... ...
[한 장의 기후위기] 바다 위에 붙은 석회조류 '갯녹음', 바다를 덮은 하얀 사막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이들을 먹이로 삼는 어류 또한 먹이 부족에 시달린다. 수중에서 주로 발견되던 갯녹음이
뭍
위에서도 보이기 시작한 건 비교적 최근 일이다. 2021년 환경운동 시민단체인 ‘녹색연합’이 제주 조간대에서 갯녹음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0개 지점 중 198곳에서 갯녹음 현상이 발견됐다. 조간대의 ... ...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턱뼈를 가진 판피어, 뼈의 일부 또는 전체가 딱딱한 경골어류, 그리고 상어가 등장했다.
뭍
으로 나온 어류도 있었다. 지느러미처럼 생긴 다리를 지닌 ‘틱타알릭 로제아이’가 대표적이다. 물론 이들은 곧 사라졌다. 데본기 후기 멸종은 3억 7200만 년 전 켈바제르 멸종을 시작으로 3억 6000만 년 전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리가 좋아하는 달콤한 디저트의 역사와 만드는 과정^-^
기사
l
20231126
지금의 탕후루로 추측된다고 합니다. 만드는 과정은 다 알다싶히 과일을 꼬챙이나 이쑤시개에 꼽고, 설탕물이 끓어 오르면 과일에
뭍
혀 얼음물에 담구거나 얼리면 된다고 하는데 저는 얼음물에 담구는것을 추천합나다!(둘 다 해 보았는데 둘 다 실패 해서... ... 성공 해 보시길 바랍니다!) 두 번째는 푸딩입니다. 저는 디저트나 간식으로는 푸딩을 좋아 ...
바다거북은 어떻게 살아갈까?
기사
l
20230713
도달한다고 합니다. 붉은바다거북은 둥지 해변의 물이 얕은곳에서 짝짓기를 한 다음 2~3 개월 뒤 산란을 위해
뭍
으로 올라옵니다.
뭍
으로 올라온 바다거북은 온전히 몸통만으로 자신의 체중을 버텨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산란을 끝내야 한다고 합니다. 산란 시간은 보통 4~5시간정도 걸립니다. 어미 바다거북은 산란을 마치면 앞으로 나 ...
바다거북 탐사대 in 야쿠시마(주말팀)
기사
l
20230614
받으면 사람을 물기도 합니다. 턱이 아주 강력해서 조개나 갑각류처럼 단단한 먹이도 부술 수 있습니다. 5~7월에 알을 낳기 위해
뭍
에 올라오며, 1년에 2~3회씩 한배에 평균 120개의 알을 낳습니다. 열대, 아열대 및 온대 바다에 서식하는 동물이고요. 멸종위기 등급은 위기 EN(Endangered) loggerhead의 의미는 머리가 크다는 ...
(챌린지)물과 땅을 오가는 동물의 털이 잘 젖지 않는 까닭은?(3/8)
기사
l
20230413
꽁무니 쪽에 있는 기름샘 때문입니다. 오리가 넙적한 부리로 꽁지의 기름샘을 쓰다듬으면 기름이 부리에
뭍
습니다. 그래서 부리에
뭍
은 기름으로 몸에 골고루 발라주는 겁니다. 그래서 이 기름 덕분에 오리는 물속에 들어가도 전혀 젖지 않습니다. 오늘은 오리가 왜 물에 젖지 않는지 알아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
표지 그리기 대회 열어요!
포스팅
l
20220429
눈부셔상(2등):소원권 2장,리퀘1번,제 사랑(포방 아니면 댓글) 표지 쓰고픈상(3등):소원권 1장,리퀘1번,제 사랑(포방 아니면 댓글) 노력이
뭍
어나상(장려상):리퀘1번,제사랑(포방 아니면 댓글) 참가해주셔서 고맙습상(참가상):제 사랑(포방 아니면 댓글) 모든 체점은 투표를 통해 진행되고요 소원권은 '000님 얼공'같은 지나친 요구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