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시나비
나비
로레알 패치
다이어트 패치
로레알 바디
로레알 퍼펙트
스페셜
다크서클 생기는 이유, 피로 때문 아니다?
KISTI
l
2015.11.11
비강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으면 눈꺼풀 아래 혈류도 정체되는데, 이 때 혈액 내 헤
모시
데린이라는 색소가 피부에 침착되면서 검붉은 색의 다크서클이 생긴다. 이 밖에도 콧속 가려움으로 코를 위 아래로 만지면서 콧등 아래 수평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또 코막힘으로 입을 벌리고 숨 쉬는 습관이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사회성도 매우 뛰어나 100여 마리의 직계 가족이 무리 지어 생활한다. 낳아준 부모를 평생
모시
거나 갓 출산한 새끼 돌고래를 수면 위로 들어 올려 호흡을 돕는 이타적인 모습도 보인다. 그런 돌고래에게 10m 안팎의 수조는 운동조차 하기 힘든 ‘비좁고 외로운 감옥’이다. 돌고래는 친인척끼리 무리 ... ...
자도 자도 다크서클 진해지는 이유
KISTI
l
2013.08.02
비강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으면 눈꺼풀 아래 혈류도 정체되는데, 이 때 혈액 내 헤
모시
데린이라는 색소가 피부에 침착되면서 검붉은 색의 다크서클이 생긴다. 이 밖에도 콧속 가려움으로 코를 위 아래로 만지면서 콧등 아래 수평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또 코막힘으로 입을 벌리고 숨 쉬는 습관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마지막 탐험지는 모세의 기적처럼 썰물이 되면 섬으로 향하는 길이 열리는 쿠이비샨
모시
펀하이입니다. 이곳은 우 교수님의 마음을 빼앗은 탐험지예요. 대원들은 바닷물이 빠지기 전까지 두 눈을 의심할 신기한 자연 현상을 마주했습니다. 양쪽에서 파도가 서로 마주 보며 치고 있었거든요. 우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포함되는 노란색 색소. 혈액에 많아지면 피부가 노랗게 되는 황달 현상이 일어난다.●헤
모시
데린: 철을 포함한 갈색 단백질. 멍이 다 나은 후에도 피부에 일부 남아서 어두운 자국을 남기기도 한다. 멍이 빨리 나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합과학 넓히기멍의 색깔 속에 숨는 코로나19 바이러스?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세로토닌계 항우울제를 장기투여하면 p11 단백질과 함께 작용하는 복합체가 해마
모시
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우울증을 완화한다는 후속 연구도 진행했다. doi: 10.1038/s41380-019-0384-6오 교수는 “그간의 연구결과를 살펴봤을 때, 세로토닌계 항우울제에 치료지연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약물의 작용을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일대 지방 관아는 바쁘다. 한양에서 온다는 귀한 손님을 맞이해야 한다. 나라에서 극진히
모시
라고 했다니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때마침 그가 왔다. 짧은 곱슬머리를 한 파란 눈동자의 사나이는 조선말을 잘도 구사한다. 부엌에서는 과일과 떡 등 음식이 차려진 상을 내왔다. 대화를 나누며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홍신 - 230808 - 2
탐사기록
l
20230808
탐사한 식물은 '개
모시
풀'입니다. ...
[챌린지]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 선생님
기사
l
20230727
두피디아) - 나비의 생김새에 따라 짓기 : 생김새를 닮은 동식물이나 물건에서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가랑잎나비, 붉은점
모시
나비 등)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 나비의 크기에 따라 짓기 : 크기에 따라 '작은'이나 '큰'이라는 이름으로 지었다고 합니다. (작은, 큰, 왕, 대왕.. 등) (사진출처: 네이버 ...
(챌린지) 나비의 아버지, 석주명 박사님
기사
l
20230721
이름을 우리말로 고치거나 새로 지어 1947년 조선생물학회에서 통과시켰죠. 나는 모양이 까불대서 팔랑나비, 반투명한 날개를 가진
모시
나비, 지옥처럼 험준한 고산에 살아서 지옥나비. 세밀한 관찰과 깊은 애정에서 품어나온 아름다운 우리말 이름이 제제각기 주인을 찾았으며, 현재 한국 나비 이름의 2/3 이상은 석주명 박사님께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
넓적이를찾아서 - 230528 - 2
탐사기록
l
20230528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숲에서 발견한 나비입니다.날개의 모습은 붉은점
모시
나비처럼 생겼습니다. ...
갯벌에서 만난 게
탐사기록
l
20230527
관찰하고 바로 놓아줬어요.가무락 조개(
모시
조개)도 있어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