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국
고국
본국
부모국
키 스테이션
우리나라
d라이브러리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2082개의 문서를 수집했다. 그 중 93.9%는 영어가
모국
어인 환자였고 나머지 742명만 영어가
모국
어가 아닌 사람이었다. 그 중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환자가 서명한 사례는 481건이었다. 분석 결과, 비영어권 환자들의 임상시험 참여율은 정부나 학계가 진행하는 임상시험보다 그나마 사기업 ... ...
[Biostatistician] 빌 게이츠도 주목한 생물통계학자, 질병과 빈곤의 사슬에 맞선 논할라 옌데-주마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강조했다. 사실 그게 아니어도 수학과 친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는 당시 줄루어(남아공
모국
어 중 하나)밖에 몰랐다. 그런데 교과서는 온통 영어로 쓰여 있어서 영어를 몰라도 할 수 있는 수학 공부를 가장 열심히 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점점 수학 문제에 도전하고 해결하는 재미를 알게 됐다.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박사 졸업 후 알게 됐고, ‘독학’했다고 합니다. 아르헨티나 출신인 카파렐리 교수는
모국
에서 박사과정까지 밟았습니다. 함수를 연구하는 해석학을 전공한 그는 1973년 미국으로 건너와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합니다. 그때 2차 선형 PDE 연구를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명예교수님은 “임 교수는 음악, 미술 등 문화적 소양이 뛰어나고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국
어처럼 사용하는 데다 수학적 능력이 뛰어나 한국의 수학적 위상을 보여주고 싶어 사회자로 발탁했다”고 설명했어요. 임 교수님은 최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학자로 주목받고 있지요. 서울대학교에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관종의 문답
포스팅
l
20240605
91. 좋아하는 영어 알파벳은? ▷▶ n292. 싫어하는 영어 알파벳은? ▷▶ b293. 좋아하는 나라는? ▷▶ 한국294. 어떤 점이? ▷▶
모국
이니까295. 싫어하는 나라는? ▷▶ 중꿜라296. 어떤 점이? ▷▶ ...ㅎ297. 좋아하는 컴퓨터 게임은? ▷▶ 원신!!! 아를사랑해 아를아를아를 아를 사랑해 진짜298. 싫어하는 컴퓨터 게임은? ...
한글날 기념
포스팅
l
20231009
바친 ’잡종‘ 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나라를 지키려던 이유는 바로, 한국어를
모국
어로 사용하며, 한국이 자신들의
모국
이기 때문이다. 독립운동가들께서 한날 벚꽃같이 화려했던 일제에 맞서 이 나라의 언어와 본질과 자주성을 지켜주셨기에 우리가 이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한글은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한다. 즉 ’한글날 ...
한글날에 관해 글을 적어 오라고 해서 적었더니 털림
포스팅
l
20230920
바친 ’잡종‘ 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나라를 지키려던 이유는 바로, 한국어를
모국
어로 사용하며, 한국이 자신들의
모국
이기 때문이다. 독립운동가들께서 한날 벚꽃같이 화려했던 일제에 맞서 이 나라의 언어와 본질과 자주성을 지켜주셨기에 우리가 이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한글은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한다. 즉 ’한글날 ...
외국어가
모국
어로 들린다고?몬더그린 현상.
기사
l
20230815
몬더그린 현상은 외국어가 우연히
모국
어로 들리는 경우를 말합니다.몬더그린 현상은 아일랜드의 한 합창단이 부른 발라드중 ’And laid him on the green’(그리고 그녀를 풀밭에 눕혔네)를 미국의 한 작가가 잘못들어‘And lady mondergreen’(그리고 숙녀 몬더그린)으로 착각하며 생긴 것 입니다.요즘에는 이런 요소들이 광고 ...
[2월 기억한 DAY] 국제
모국
어의 날이 뭘까요??
기사
l
20210207
모국
어의 날은 1999년 11월 17일에 지정되었는데요, 이 날은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 다언어, 즉 여러나라 언어의 사용, 그리고 각각의
모국
어를 존중하자는 뜻에서 지정된 기념일입니다. 깊고 많은 의미를 지닌 많큼 사연도 어마무지 합니다. 1952년 2월 21일 동파키스탄(방글라데시)의 다카라는 지역에서 벵골어를 공용어로 인정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