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함
무감각
무신경
굼뜸
무지각
무기력
느림
스페셜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중 눈에서 받는 정보를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귀가 잘 안 들리거나 촉각이 다소
둔감
해도 어느 정도 일상생활을 해 나갈 수 있지만 당장 눈이 불편하면 큰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사람의 눈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각막을 통해 받아들이고, 홍체의 크기를 조절해 빛의 양을 가감한다. 망막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으른’들이 자주 하는 거짓말은?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되는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할수록 편도체 활동량이
둔감
해진다는 것이 확인됐죠. 훗, 직장 생활 7년 차인 기자의 거짓말은 쉽게 들키지 않겠군요 ... ...
[과학뉴스] 침이 입맛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단백질의 조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우유를 마신 참가자들이 점점 쓴맛과 떫은맛에
둔감
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침 속 단백질 중 쓴맛과 떫은맛을 내는 화합물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증가한 사실도 확인했다. 침 속 단백질이 화합물에 결합해 맛 인식을 방해한 것이다.러닝 교수는 “침이 입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잡아당겼다. 이 장면을 화면으로 지켜보던 전문가는 “팔꿈치에 신경이 적어 접촉에
둔감
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유대감을 형성하기 좋다”는 일명 ‘팔꿈치 효과’를 설명한다. 최근 종영한 채널A 예능 프로그램 ‘하트시그널2’. 하트시그널은 일반인 남녀들이 4주간 함께 생활하면서 무한한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주파수가 높으면서도 흑체복사나 전기장, 자기장, 원자 간의 충돌 등 다양한 외부 영향에
둔감
한 원자는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세슘 시계보다 5만 배 정확하지만그나마 이터븀이 이런 조건에 부합하는 원자다. 이 책임연구원은 “그래도 외부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원자를 냉각한 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고양이의 "야옹"은 특별한 소리?
기사
l
20231124
"야옹" 이란 소리를 내요. 그럼 엄마 고양이는 바로 그 아기를 보살피지요. 하지만, 새끼 고양이가 자라면 엄마 고양이는 "야옹" 소리에
둔감
해지고, 새끼 고양이도 "야옹" 소리를 멈추기 시작하죠. 그런데 사람이 집에서 고양이를 키우게 되면서 다 큰 고양이에게도 밥을 주는 "사람 엄마"가 생겼고, 고양이는 사람에게 야옹이란 울음소리를 내게 되었 ...
갈매기에게 매운 새우깡을 주면 매워할 까?
기사
l
20210414
새우깡을 주면 매워 할까 하는 궁금증 말입니다. 답변부터 말하자면 조류는 캡사이신 수용체의 구조가 포유류와는 달라서 매운 맛에
둔감
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먼저, 매운맛을 내는 화학물질은 캡사이신 입니다. 우리가 캡사이신을 먹으면 고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TRPV1이 활성화되면서 매운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1997년 미국 ...
고양이사전!
기사
l
20201210
어미 고양이의 관심을 끈다고 합니다.출저.나무위키 그리고 어미는 새끼를 돌보죠. 새끼 고양이가 점점 커지면 어미는 소리에
둔감
해지고.... 새끼고양이도 이소리를 멈춘다 합니다. 그래서 "야옹은 어미 고양이에게만 효과적이었죠! 언젠가부터 인간이 돌보기 시작하자 고양이들은 저절로 인간을 어미로 생각하고 "야옹"이라 한거죠! 결국 이 울음 소리 ...
펭귄이 왜 추위에 강할까?
기사
l
20200213
다행히 펭귄을 포함한 조류의 발은 외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냉혈 동물의 조직과 비슷합니다. 그 덕에 추의에
둔감
한 편입니다. 마지막 비결은 펭귄끼리 옹기종기 모여 지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추위에 노출되는 부위을 줄일 수 있고 서로 체온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정예지 기자였습니다!⭐ ... ...
왜 다른사람이 간지럽혀야만 간지러울까?
기사
l
20190901
전혀 신경쓰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 모든 이유는 바로 뇌의 정보처리 특성 때문입니다. 뇌는 예측 가능한 자극이 들어오면
둔감
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스스로 간지럽히면 웃음이 안 나오는 것이죠. 하지만 남이 간질이면 뇌는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래서 웃음이 나오는 것이랍니다. 좋은 정보 얻으셨나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까지 송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