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업
농사
농예
농법
스페셜
여름 보양식의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8.18
못 해주면 식욕을 잃고 무기력해지는 이른바 여름을 타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여름철이라고 더위를 피해 쉴 수 있는 상황은 전혀 아니었다. 그러니 고된 노동과 무더위를 이기기 위해서 고열량 보양식이 필요했다, 과거 영양분을 위주로 한 보신 음식으로는 한여름 더위로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농작물의 비료로 사용하고, 농작물이 광합성으로 만들어 낸 산소를 수조에 공급해
농경
과 양식에 따른 공해를 줄일 수도 있다. “농장 빌딩은 중간 단계예요. 장기적으로는 유통과정이나 산업단지와의 연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프리바가 강조하는 것은 농업의 지속가능한 가치사슬입니다.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때문에 실험에 꼭 필요한 장비다.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인류의 문명은
농경
으로부터 시작됐다고들 한다. 그러나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여전히 인류가 수렵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이 있으니, 바로 바다다. “우리가 먹는 소나 돼지들은 오랜 세월 동안 품종이 개량된 결과물입니다. 들소와 소,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1)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한 덕분”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역민을 우선고용하고 원전의 온배수를 주변
농경
지에 공급하는 등 지역과의 상생활동을 통해 별도의 특별한 금전적 지원책 없이도 운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원전업계 관계자는 “프랑스의 경우 반핵이나 환경단체들의 원전반대가 거세지만 논란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지냅니다. 도시의 집비둘기가 사람이 먹고 남은 음식물을 즐겨 먹는 반면, 낭비둘기는
농경
지에서 식물의 씨앗을 주로 먹죠. 낭비둘기는 1980년대까지 전국에서 볼 수 있는 텃새였지만, 이후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습니다. 지금은 전남 구례군, 경기 연천군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과학의 출발점은 같다. 세상의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다. 특히 하늘의 움직임은
농경
과 제사 등을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였다. 아래 이미지는 기원전 2000~1600년 사이 제작된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다. 1999년 독일의 작센안할트 주에서 발견됐다.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에는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측우기가 왜 중요한 발명으로 칭송받는지 이해하려면, 조선이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경
사회였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당시 풍작과 흉작은 국가 재정과 곧바로 연결되는 중요한 일이었다. 벼농사를 잘 짓기 위해서는 비가 적절히 내려야 한다. 조선 조정에서는 각 지역에 비가 얼마나 내렸는지 ... ...
[기획] 끈질겼던 승부의 승자는? 사람과 토끼의 줄다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그냥 두면 안 될까요? 불어난 토끼로 인해 호주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또한
농경
지도 파괴돼 경제적 손실이 2000년대에만 연간 1650억 원치 발생할 정도로 매년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호주에서는 지금도 ‘토끼 없는 호주(Rabbit-free Australia)’ 등의 민간단체를 비롯한 여러 기관이 토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건이네가족 - 240928 - 2
탐사기록
l
20240928
섬진강변
농경
지입니다. 마지막 사진은 고니였어요! ...
흰별나비 - 240812 - 1
탐사기록
l
20240812
발견장소
농경
지 ...
지사탐 비틀밤 현장 교육 - 폭탄먼지벌레 탐사
기사
l
20240811
폭탄먼지벌레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 출처 : 와!폭탄먼지벌레다 - 지성사 ) 폭탄먼지벌레는 도심에서는 잘 안보이지만 산지,
농경
지에 많이 분포해 평소에는 잘 볼 수 없었는데 폭탄먼지벌레를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특징도 잘 알게 되어서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서원식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새호리기가 멸종위기라고?
기사
l
20240804
(출처:직접 촬영) 새호리기가 멸종위기종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새호리기는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새호리기는 5월 초순에 전국의
농경
지와 인가 주변의 산림에 도래해서 번식하고, 10월까지 국내에서 서식하는 나그네새입니다. 그런데 이 멸종위기종 새호리기를 집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에서 보령해저터널홍보관 옆 외부회전 ...
공존탐사 - 240418 - 1
탐사기록
l
20240418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농경
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눕고 위쪽은 곧게 자라며 높이 10~25cm다. 잎은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 잎은 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0.7~3.0cm, 끝은 둥글고 밑은 심장형으로 가늘고 긴 잎자루가 있다. 위쪽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