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2025.07.26
- 원치 않는 직업, 원치 않는 결혼 등에 머무르는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어린 나이에서부터 삶의 회의를 느낀다든지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진단이다. 그런 반면 이런 가정들에서 의식주에 관한 문제 외에 서로의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놓고 소통하는 일은 적으면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롭다고 느낄수록 수명 짧아진다2025.05.31
- 보여주는 예라고 하면 아마 ‘외로움’일 것이다. 기존 건강상태, 교육수준, 소득, 성별, 나이, 우울증 여부 등과 상관 없이 외로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빨리 노화하고 각종 심혈관 질환, 고혈압, 면역 반응 이상,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감퇴에도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직면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2025.04.26
-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회피해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한 두 가지씩 지병을 갖게 되지만 나는 해당되지 않을 것이고 나만은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는 문턱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고 삶에서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부분들은 언제나 많지만 내 삶의 ... ...
- [헬스토크] 산만하면 ADHD?…소아·성인 주요 증상 달라동아사이언스 l2025.03.09
- 치료는 약물치료, 심리교육, 부모 및 교사 훈련, 인지행동치료 등의 방법이 있다. 나이와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단독 치료 또는 병행 치료가 이뤄진다. 약물치료는 ADHD 증상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돕기 위한 중요한 치료법이다. 약물은 크게 자극제와 비자극제로 나뉘며 적정 약물이 결정되면 1~ ... ...
스페셜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제로에너지 시티 에코 롱롱 큐브 탐방 취재기사 l20250728
- 소개 해주셨습니다. 수성은 낮에는 400도 이지만, 밤이되면 영하 170 도 까지 기온이 내려가고, 수성의 1년은 88일입니다. 수성의 나이로는 저는 40살이 넘었습니다. 금성은 지구와 닮았지만, 훨씬 더 건조하고, 대기밀도는 지구보다 100배나 높다고 합니다. 화성에는 이산화탄소로 된 대기가 있고 산화철 때문에 붉은색을 띈다고 합니다. 그래 ...
- 코오롱의 에너지 놀이터, 김천 에코 롱롱 큐브! 그리고 송하율 연구위원님 강연기사 l20250727
- 이런 수치로 우주를 설명하시는 이유는 '크다'라는 표현은 애매한 표현이여서 과학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입니다. 또, 나이는 138억 살 입니다. 평균온도는 -270도 입니다.허블 딥 필드 /출처: 나무위키다음은 천체 망원경, 허블과 제임스 웹 입니다. 허블은 세계 최초 우주망원경 으로, 현재의 제임스 웹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지지만, 당시 ...
- 친환경 에너지 창작소, 에코롱롱 큐브에 가다!기사 l20250726
- 대한 지식을 수로 나타낼 수 있을때 과학자가 될 수 있다고 말씀하시며 우주의 숫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우주의 크기, 나이, 평균 온도와 별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우주의 크기 : 약930억 광년우주의 평균 온도 : 2.7켈빈 (약 -270도)우주의 나이: 약 138억년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 : 켄타우루 ...
- 오랜만에 와서 글 던지고 튀기포스팅 l20250723
- 흥미는 없지만 계속 그러시니까 궁금해지잖아요.” “참을성이 없네. 어른이 말하면 끝까지 들어야지.” “어른은 무슨... 저랑 나이 차이도 별로 안 나면서. 저 없으면 일상생활도 똑바로 못하잖아요.” “원래 천재는 그런 법이야. 하찮은 일들은 잘 못해도 돼.” “천재도 사람이니 밥은 먹고 잠도 자야죠. 어제 몇 시간 잤어요?” “.... ...
- 저의 대한 퀴즈!포스팅 l20250713
- 1번 문제: 저 신수아는 어떤 야구팀을 좋아할까요?1. 롯데자이언츠 2. 삼성라이온즈 3. 기아타이거즈 2번문제: 저의 나이는 초몇일까요?1. 3학년 2. 4학년 3. 5학년 3번 문제: ☆어려움☆ 제가 응원하는팀의 우승 횟수는?힌트: 5~15번 중하나 입니다! 최초로 다맞추신분은 소원권 드립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