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놀러 갈 준비 1. 우주, 얼마나 넓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사이의 거리로, 약 1억 4959만 7871km예요. 무한무한은 한계가 없다는 뜻이에요.수학에서는 기호 ∞로 나타내요.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수보다도 크지요.우주처럼 끝을 모르는 거대한 것을 ‘무한하다’라고 말하기도 해요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화학의 매력을 느낄 수 있게 이번 책을 보다 쉽고 자세히 집필했다. 여 교수는 “원소 기호는 자연의 알파벳”이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알파벳이 모여 단어를 이루고, 단어가 모여 문장을, 문장이 모여 문단, 문단이 모여 글이 되듯, 자연의 알파벳인 원소가 결합해 분자가 되고, 분자들이 모여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연결되고 끊어지는 해류의 흐름이 고흐의 그림 속에서 소용돌이치는 별무리와 닮았다. 기호 ‘~’를 흔히 물결 표시라고 부른다. ‘흐른다’는 개념을 인류는 연결된 선으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밤하늘 빛의 흐름도, 바닷물의 흐름도 연결된 선이 되어 평면 위에 올라온다. 책 ‘코스미그래픽’의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레시보 메시지에는 수 체계, DNA, 인간, 태양계 등에 대한 정보가 간략한 이미지와 2진수 기호로 담겼습니다. 1999년과 2003년에는 우크라이나 예바토리아에 있는 전파망원경 RT-70에서 ‘코스믹 콜’이라는 메시지를 전송하기도 했습니다. 코스믹 콜은 외계로 보내는 메시지의 구성을 확립했다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 이야기 Pluto's Planet Disqualification기사 l20250326
- 임동연 기자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알고 있는 명왕성의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명왕성은 명왕성, 또는 134340 명왕성으로 불리며, 기호는 입니다. 지름은 약 2300km로, 달보다 작습니다. 소개는 여기까지 하고, 이제 본격적인 내용을 시작하겠습니다. 2006년, 유럽에 있는 체코라는 나라의 수도 프라하에서 제26회 국제천문연맹 총회가 열 ...
- 카오모지 (특수기호 이모티콘) 모음!포스팅 l20250216
- 요즘 예쁜 카오모지에 빠져있어서..ㅎㅎ복사해서 쓰시면 돼요! 무료나눔하는 사이트 (snskeyboard.com) 에서 가져왔습니다! 몇 개는 직접 제작했구요~(살짝 스압 주의!)♡ ⋆⁺₊⋆ ☾⋆⁺♡ ⋆⁺₊⋆ ☾⋆⁺₊⋆₊̣̇.ෆ˟̑*̑˚̑*̑˟̑ෆ.₊̣̇.。゚•┈୨♡୧┈•゚。* ੈ✩‧₊˚* ੈ✩‧₊*ଘ⍢⃝੭* ੈ✩⋆。˚ ☁︎ ˚。⋆。˚☽˚。⋆❤︎⁄⁄꒰* ॢꈍ ...
- 눈에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 황금비율기사 l20241206
- 두 수를 나눗셈으로 비교할 때 기호 : 를 사용하여 나타낸 값 비율: 두 수의 비를 하나의 수(분수, 소수)로 나타낸 값 황금 비율는 1:1.618인 비율인데 기원전 300년경 수학과 기하학에 관한 고전 그리스 서적인 유클리드 원론에서 처음 언급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클리드와 함께 피타고라스와 같은 다른 초기 수학자들은 이 비율을 황 ...
- 짧은 소설포스팅 l20241122
- 아닌 나의 세계 속에서 살아본 적이 있었는가,하늘의 무거운 공기처럼 날 누르던 자음과 모음의 결합을 하나하나 떠올려본다. 단순한 기호가 음성이 되어 들려오고, 그 음성은 내 뇌리에 단단히 박혀 환청으로 들려온다.내 입술은 타인의 속삭임을 모방한다. 영혼이 심연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느낀다.유일한 나의 세계 속으로,두 개로 갈라진 세계 속으로 침 ...
- 2024 IGC(세계지질학총회) 부스 탐방!기사 l20240901
- 설명을 들었습니다. 지질도에서 색이 칠해진 곳은 그 지역의 지질층 나이를 나타내고 색이 칠해진 부분에 작은 기호가 보이는데 이 기호는 암석의 종류를 표기합니다. 그리고 제가 살고 있는 부산은 영남 메시프(단층 지괴) 지대라고 하셨습니다. 다음으로는 우주기자단이 모두 같이 보았던 탐사 로버(이름이 없어서 공모전으로 정하자고 하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