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체
d라이브러리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그대로 덩치가 커, 날개를 폈을 때 양쪽 끝의 사이가 1.8m 정도나 된다. 기지 남쪽 펭귄
군서
지 근처 바위봉우리 위에 둥지를 짓고 있다. 이 새들이 한 겨울에도 기지에서 보이는 이유는 철새가 아닌 텃새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기지 부근의 바다가 얼어도 얼지 않은 곳이 그렇게 멀지 않거나 ... ...
산양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Flora)의 부속서 Ⅰ호에 게재돼 있다.수컷 1마리가 암컷 2마리와 새끼 2마리의 가족군으로
군서
생활을 한다. 따라서 서식장소의 수와 바위틈의 수를 계산하면 서식수를 쉽게 알 수 있다. 보금자리는 맹수와 사람들이 쉽게 드나들 수 없는 바위구멍에 만든다.산양은 고집스런 성질로 주서식지를 멀리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튼다. 즉 한겨울을 날 명당자리를 마련하는 것이다.때로는 여러 마리가 떼를 지어
군서
(群凄)하는 경우도 있다. 이듬해 경칩이 되면 보기에도 참혹하리만큼 앙상히 마른 뱀들이 비실거리며 밖으로 나온다.뱀은 발이 없다. 예외로 비단구렁이의 경우, 항문의 양쪽에 뾰족한 한쌍의 돌기가 나있는데,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동물원이었는데 소문이 나자 도시에서 몰려드는 관람객들로 연일 만원을 이뤘다.홍학은
군서
(群棲)하는 강한 집단성을 갖고 있다. 그 습성을 잘 살려 이용한 것이 바로 플라밍고쇼지만 동물애호라는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그러면 과연 홍학이 음률을 식별하는 지능을 갖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시민과학풀씨 프로젝트 - 인간활동에 의한 무당개구리의 기형도에 관한 탐사
기사
l
20200804
참여한 팀들과 김용수 연구원님의 도움으로, 지난 탐사와 이번 탐사를 간단히 비교해 보았습니다. 1차 탐사 : 7월 18일, 전남 영암군
군서
면 도갑산 부근 수로, 5팀 참여, 채집 무당개구리 총 20마리 중 기형 2마리, 오염도 TDS 203, EC 176 2차 탐사 : 8월 1일, 전남 함평군 해보면 용천사 부근 수로, 5팀 참여, 채집 무당 ...
고양이 알아보기 12탄! 민스킨
기사
l
20200526
안녕하세요 김수안 기자입니다! 원래는 12탄이 다른 주제인데 왜 민스킨인지는... 포스팅에 올리겠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와서~ 민스킨! 아마 들어보신 분이 적으셀 거예요~ 민스킨은 짧은 다리와 털이 없어요. 엇! 생각나시는 아이가 있나요? ... 죄송합니다) 저도 그렇게 잘 알지는 못하는 고양이라서 내용이 좀 짧았어요. 그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