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종 교배
스페셜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대상으로는 아직 상업화되지 않았어요. 이번 성과를 통해 대량 양식이 가능한
교잡
어종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죠.” 가장 중요한 관건은 양식어종의 ‘건강’이었다. 양식어의 시장성을 확보하려면 짧은 시간에 빠른 성장을 보여야 하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폐사되지 않고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아닌,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한 남미 지역 고추를 찾아내 그 유전자를 자연
교잡
과정을 거쳐 상품화한 것. 최근 미국 캔자스주립대와 캘리포니아대 공동연구진이 밀 농병균인 ‘Ug99’에 대한 면역력을 지닌 ‘Sr35’ 유전자를 보유한 야생 밀을 찾아내 사이언스에 발표한 것과 같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약수가 많은 수보다 최소공배수가 커진다.
교잡
의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그
교잡
의 시기가 자주 돌아올수록 매미에게 위기가 온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17은 매미가 살아남을 수 있는 특별한 숫자다. 이처럼 17년 매미 주기에는 소수 원리가 있다. 매미는 오랜 시간을 겪으며 살아남는 방법을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있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법은 DNA나 RNA를 형광으로 표지할 수 있는 형광 동소
교잡
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FISH)을 응용했습니다. FISH는 탐침에 형광물질을 달아 DNA에 결합시켜서, 이 DNA의 위치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기법입니다. 워드 프로그램에서 Ctrl+F 단축키로 우리가 원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우장춘의 삼각형(U’s Triangle)’은 식물에서는 종간
교잡
을 통해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연구 결과였고, 지금까지도 세계적으로 자주 인용되고 있다. 즉 우장춘은 젊은 시절 일본에서는 식물의 염색체와 유전에 대한 중요한 학문적 ... ...
제주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꽃 피우는 시기라 샛노란 금새우난초, 은은한 상아색 새우난초, 그리고 둘의 자연
교잡
종인 주황색 한라새우난초가 흐드러지게 핀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섬휘파람새, 휘파람새의 노랫소리가 이따금 나무 사이에서 들려왔다. 참가자들은 보이는 모든 생물을 카메라에 담으려 노력했다. 과학동아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챌린지] 빵빵한 배추를 만들어주신 우장춘 박사님
기사
l
20230730
열심히 한 우장춘은 장학금을 받으며 도쿄제국대학 농과대학에 진학하였습니다. 우장춘 박사님은 배추와 양배추의
교잡
을 통해 실험적으로 유채를 만들어내는 등의 성과를 통해 종의 합성 이론을 규명하였고 다윈의 진화론을 발전시켰으며 우생학을 부정하는 성과도 이루었습니다. 우장춘 박사님은 학창 시절 한국인 유학생 김철수와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본인에게 한 ...
[챌린지]유전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님
기사
l
20230721
끝에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박사학위의 논문은 종의 합성입니다. 아래의 사진은 종의 합성 예시입니다. 이러한 이론은 이전의
교잡
은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는 이론에 대한 반발이였고 종의 분화는 자연선택이라는 진화론을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출처: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 ...
[챌린지] 우장춘 박사님
기사
l
20230716
거이라고 하는 데요. 박사님은 배추와 양배추를
교잡
시켜 유채를 만들고, 배추와 흙겨자를
교잡
시켜 갓을 만들고, 양배추와 흙겨자를
교잡
시켜 에티오피아를 만들어 내시는 데 이걸 우장춘의 삼각형이라고 합니다. 또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시겨 엄청난 업작을 달성하게 됩니다. 박사님은 한국에 와서도 노력을 해 금싸라기 참외, 여름 ...
우장춘 박사님의 업적들
기사
l
20230715
한국에 오셨는데요! 정말 우등생이었다고 합니다…일단 _배추속 식물에 관한 개념_이라는 개념으로 배추와 양배추는 서로의 자연
교잡
종이라는 밝혀서 새계 최초의 종의 합성과 종간잡종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일단 식물은 유전법칙을 따르기에 꽃의 번식 또한 같은 의미 입니다!그러니 야채도 똑같겠죠? 일단 흑겨자는 BB입니다 거기에 aa를 붙이면 갓 ...
(챌린지) 종자의 비밀을 밝혀내다, 우장춘 박사님.
기사
l
20230714
교잡
은
교잡
일 뿐이고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는 그간의 과학계의 정설을 깨트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식물은 돌연변이가 아닌 종간
교잡
을 통해서도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직접 보여줌으로써 결국 '종의 분화는 자연선택의 결과이다.' 였던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 또는 거기서 파생된 우생학을 부정하는 엄청난 파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