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수병
스페셜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이 교수와 하버드 의대 공동 연구팀은 자연계에서 드물게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는
광견병
바이러스에서 ‘RVG 단백질’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혈액 내장벽을 통과하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2007년 6월 ‘네이처’에 실렸다. 현재 이 교수는 천식약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초월해 과학의 본성에 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파스퇴르의 조수들은 이 거짓말이
광견병
백신의 미래를 위한 것이었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아무리 과학 발전을 위한 것이었다고 해도, 과학이 정직할 것이라는 사회의 신뢰를 저버려도 되는 걸까. 오늘날의 우리도 생각해볼 문제다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그럴 땐 박쥐의 배설물이 눈으로 들어가지 않게 조심하지요. 외국에 서식하는 박쥐들은
광견병
바이러스 같이 위험한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어서 방역 복장을 갖춰 입기도 해요. 하지만 국내 박쥐들은 그 정도로 위험하지 않아 방역복까진 필요 없죠. 다만 맨손으로 만지거나 채집하는 건 위험할 수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예방할 수 있는 우두법을 발표했고, 프랑스 생화학자 루이 파스퇴르는 1879년부터 콜레라,
광견병
등을 예방하는 백신을 연달아 만들어냈다.백신까지 개발됐지만, 바이러스의 존재는 여전히 불분명했다. 그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는 데 그쳤다. 러시아 생물학자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 이 막 단백질의 모양에 따라 나선형, 정이십면체 등 바이러스의 형태가 결정된다.
광견병
바이러스나 수포성구내염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나선형 바이러스다. 막 단백질을 이루는 단위 단백질인 캡소미어(capsomere)가 마치 벽돌처럼 나선형으로 쌓이며 원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캡소미어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좀비 바이러스 정말 발생할 수 있을까?
기사
l
20250306
사납게 만듭니다. 그리고, 많아진 바이러스는 피로 들어간 후, 침샘에서 고농도로 모아져 다른 생명체도 감염시킬 준비를 합니다.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다른 생명체를 물지는 않지만, 대신 재채기로 공기중에 바이러스를 퍼트립니다. 만약에 더욱더 강한 관경병 바이러스가 나온다고 하면 좀비 영화같은 혼란이 벌어질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전 무 ...
청명X
광견병
예방 접종 그림
포스팅
l
20230829
청명이 별명이 화산광견이니
광견병
예방접종 홍보(?) 비슷한 느낌으로 후딱 그렸습니당+ 저 글씨 다 빼고매드 사이언티스트.... ...
백문백답
포스팅
l
20230816
중 가장 어릴 때의 기억   부산에서 아마 6살 쯤 전주로 옴82. 내가 가진 기억 중 가장 무서웠던 기억   꿈인데
광견병
물려 뒈짐83. 백만원이 생기면 하고싶은 것   80은 저축하고 20은 주식투자84. 하루 식사 횟수   2회 또는 3회85. 남들에 비해 잘하는 것은?   관심분야8 ...
현장교육을 다녀오다.
기사
l
20230729
혹시나 주변에 쓰러져 있는 박쥐를 발견하게 되면 바로 만지지 말고 야생동물구조센터로 바로 전화를 하세요! 만지면 안돼요! 만지면
광견병
에 걸릴 수 있으니 눈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제가 박쥐를 더 조사하면서 박쥐가 천연기념물 또는 멸종 위기 야생 생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인 종으로는 붉은 박쥐(황금박 ...
새상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top5
기사
l
20220402
가장 위험한 동물 top5 시작합니다 5위는 개 입니다
광견병
에 걸린 개는 한해의 사망자 수가 6만 1000명입니다. 하지만 저는 모든 개가
광견병
이 있는 건 아니라고 짐작합니다. 4위는 뱀입니다 위험한 종류는15%밖에 안 된다는데 독이있는 배은 무려 한해에 9만 4000명이라고 합니다 빨리 빨리 3위는ㄷㄷ 왕우렁이 입니다 우렁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