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력
지배권
명령권
뉴스
UN, 전세계 바다 30% 보호구역 지정..."역사적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뒤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공해는 각국 해안에서 약 370km 떨어진 해역으로 국가
관할권
은 없다. 지구 전체 바다의 60%이상을 차지하지만 1.2%만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어획과 항로 제한 등이 이뤄지고 있다. 어업·관광 등 인간 활동을 불허하는 절대보전해역은 단 0.8%에 불과했다. ... ...
“과학과 지식의 공유 누구도 못막아”
과학동아
l
2021.06.05
원)를 지불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사이허브는 두 판결에서 모두 패소했으나, 미국 사법
관할권
이 없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배상금을 지불하지는 않았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영국, 오스트리아에서도 비슷한 소송이 이어졌다. 지난해 12월에는 인도에서도 사이허브를 ... ...
통제 잃은 中 톈궁 위성, 韓 공장에 떨어지면?...보상 받을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2
정부에 있다. 우주물체의 종류나 기한, 보험가입여부도 일체 관계없다. 이런 경우 흔히 ‘
관할권
’ 이라는 표현을 쓴다. 하늘을 날던 우리나라 비행기는 영토에서 벗어나 있더라도 한국이 관할한다. 배나 비행기는 민간 기업에 우선적인 보상 책임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우주물체는 무조건 국가가 ... ...
17일 한국에서도 ‘나고야의정서’ 발효…“연구 현장에도 타격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결과인 유전정보까지 포함시키는 추세다. 다만 인간의 유전자원이나 남극 지역 등 국가
관할권
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 얻는 유전자원은 포함되지 않는다. 문제는 국내 생명공학 분야 연구자 대부분이 해외에서 자원을 수입해 오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 생명연이 국가의 연구용 생물자원 인프라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동해연구소, 미래를 꿈꾸다! 1부
KIMST
l
2013.05.09
더욱이 동해 전반의 중요한 해양자원에 대한 자료를 확보했으며, 앞으로 도래할 해양
관할권
협상에서도 유리한 입장을 선점하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해의 해저지형도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제공 동해의 자연적 특징과 자원의 가치 동해는 우리나라와 북한, 러시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어렵다”고 말했다. 용어정리* 법정화폐: 정부나 중앙은행이 법에 따라 발행하고
관할권
내에서 가치와 통용을 법적으로 강제하는 화폐다. * 기축통화: 국제단위의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화폐. 현재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한다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원)를 지불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사이허브는 두 판결에서 모두 패소했으나, 미국 사법
관할권
이 없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배상금을 지불하지는 않았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영국, 오스트리아에서도 비슷한 소송이 이어졌다. 지난해 12월에는 인도에서도 사이허브를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느낄 수 있는 냄새가 났다.현재 북극권 주변 국가들은 북극에 대한 자국의 영토 및
관할권
을 확보하려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특히 시베리아 개발로 인한 항공 및 선박운항 통로개발 및 확대에 따른 권한 증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더군다나 북극해 주변 해역(무르만스크해,베링해,북태평양)은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때 주변국가 간에 치열한 외교 논쟁이 예상된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국제적인 해양
관할권
분쟁에 적극 대처하는 의미에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일상생활에서 궁금할만한 것 (ft 비행기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어떻게 될까?)
기사
l
20200905
하는 것을 원정출산이라고 합니다. 또한 비행기의
관할권
이 미국에게 있으면 비행기에 미국 국기가 붙어있습니다.그럴때 미국에게
관할권
이 있는 비행기에서 아기를 낳게되면 그 비행기도 미국의 땅이라고 간주해 미국 국적을 얻게 됩니다.하지만 우리나라와 미국은 원정출산을 강력하게 제재하는 편이라고 하네요 출처:https://m.blog.nav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