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합체
모래자갈
d라이브러리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동작대교와 반포대교 사이에도 하중도가 있었다. 변종민 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는 “
골재
채취와 하천정비 사업을 하면서 현재는 (하중도와 같은 퇴적지의) 본래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런 퇴적 지형은 다공질이기 때문에 부영양화를 방지하고 유해 물질을 걸러내 수질을 ... ...
[과학뉴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재, 백악, 철, 점토 등을 섞어 가열해 입자가 고운 유리질로 만든 포틀랜드 시멘트에
골재
를 섞는다.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재료들이기 때문에 만약 이 혼합물에서 반응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원치 않았던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잭슨 교수는 “시멘트 기반의 현대 콘크리트와 달리,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합성해 새로운 콘크리트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화성의 토양과 황의 비율이 각각 50%이고,
골재
(자갈이나 모래)의 크기가 1mm일 때가 가장 성능이 좋았다고 밝혔다. 이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50MPa(메가 파스칼)로, 지구 대기압의 500배가량의 압력을 버틸 수 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수소로 방사선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그 자체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바다 표면에서 미생물이나
골재
, 조류 등에 붙어 농도가 높아진 덩어리를 생물이 먹을 경우 치명적입니다.그밖의 다른 문제도 있나요?제가 볼 때 가장 심각한 문제는, 플라스틱과 미생물이 섞인 덩어리가 언제 어디로 이동할지 알 수 없다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를 다녀와서
기사
l
20240911
생각이 들었다. 콘크리트 작업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건물을 해체 하고 플랜트에 반입을 해서 무게를 재고 콘크리트를 파쇄해 재생
골재
와 재생 아스팔트로 나누어 재사용하는 부분까지 살펴보았다. 나무나 콘크리트가 재사용되는 과정은 처음 보았는데 신기했고 이런 회사가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 다음으로는 하코다테 국제과학제의 주최자인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
탐사기록
l
20161026
때 살짝 찔리는 정도입니다^^발견 당시 미호천 어디든지 서식하였고 흔한 피라미와 함께 미호천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골재
채취, 공장 및 축산폐수 등등 많이 사라지고미호천 본류는 사라지고 금강 일부 지역에서만 살아남았습니다ㅠㅠ이제 진천 부여 청양 공주 대전만 살았으나 대전 갑천은 최근 1~2년 사이에 가뭄으로자취를 감췄습니다ㅠ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