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락지
두꺼비
frog
개구리참외
참외
개구리헤엄
헤엄
뉴스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 온도 4도 오르면 양서류종 7.5% 못 견뎌
동아사이언스
l
2025.03.29
열대우림에서 발견되는
개구리
인 ‘긴코뿔
개구리
’의 모습이 실렸다. 긴코뿔
개구리
를 비롯한 양서류는 기후 변화에 매우 취약한 생물군이다. 지구온난화로 습지나 연못 등이 줄어들면 생활 공간을 잃고 번식 또한 어려워진다. 기온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양서류가 ... ...
3000명에 1명 겪는 '척추이분증' 원인 유전자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일으키면 실제로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척추이분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개구리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척추이분증을 치료하는 방향으로 활용되긴 어렵다. 태아 상태에서 유전자를 편집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척추이분증은 태아 상태에서도 등에 ... ...
건물 수천 채 삼킨 LA화재…네이처 선정 1월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robustus). Vaclav Gvozdik 제공 지난 10년 동안 콩고 분지에서 움마 굼마(학명 Umma gumma), 야행성
개구리
인 콩골리우스 로부스투스(학명 Congolius robustus) 등 700여 종이 새로 발견됐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콩고 분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연구가 덜 이루어진 곳 중 하나이며 추가적인 보호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 ...
어른 될 때까지 대변 참는 올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5
다른 올챙이보다 훨씬 강했습니다. 아이핑거
개구리
올챙이(위쪽)에게는 다른 청
개구리
올챙이(아래쪽)에게서 발견되는 배변 흔적이 없다. Bun Ito 제공 연구를 이끈 이토 분 특별연구생은 "특수한 환경에서 사는 생명체의 고유한 생존 전략을 알 수 있었던 연구 결과"라며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치명적인 곰팡이 치료하는 '
개구리
사우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개구리
들은 피부의 항아리곰팡이 포자가 10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또 한번 치료받은
개구리
는 이후 곰팡이 성장에 최적화된 환경에서도 항아리곰팡이에 대한 저항력을 보였다. 연구팀은 "
개구리
사우나는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졌다"며 "유사한 생태의 양서류 종에 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과학기술의 현장은 전혀 다르다. 그런 평가는 치열한 생존 경쟁의 현실을 우물 안
개구리
의 좁은 소견으로 왜곡한 착각일 뿐이다. 반도체 시장의 경우가 가장 대표적이다. 우리의 반도체 기술은 여전히 세계 최고임에 틀림이 없다. 그런 성과가 반도체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다. 올해 노벨상을 받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개구리
·도룡뇽 살 곳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에 작고 푸른 점이 온몸을 덮고 있는 작은
개구리
를 담았다. 이
개구리
는 '검은 마이크로하일리드
개구리
(학명 Melanobatrachus indicus)'로 인도 서부 고츠산맥 지역에 서식하는 희귀종이다. 이번 주 '네이처'에선 기후 변화로 좁은 서식지마저도 잃을 위기에 처해, 말 그대로 '벼랑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과기부의 인식은 퇴행적이다. 물론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가 우물안의
개구리
처럼 오로지 ‘우리 것’만 고집할 수는 없다. 전 세계의 모든 과학자와 열린 마음으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자세가 꼭 필요하다. 그렇다고 해서 국제협력을 ‘신진 연구자의 양성’ 과정에 필요한 ‘수습’ 과정으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상 인터뷰] 새끼에게 젖 먹이는 양서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멀어요. 저는 지렁이와는 달리 척추가 있고 뱀과 달리 탈피를 안 한답니다. 양서류 중에
개구리
나 도롱뇽 같은 애들보다 덜 알려지고 덜 연구된 편이죠. 그런데 뭘 드시고 계시나요? 엄마 몸 끝의 구멍에서 나오는 끈적하고 뿌연 액체를 먹고 있어요. 연구자들은 이걸 보고 ‘젖’ 같다고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개구리
부터 돼지, 원숭이까지. 지난 60여 년간 복제를 통해 다양한 동물이 태어났어. 과학자들은 동물을 왜 복제하는 걸까? 질병 치료에 복제 동물 나선다 1996년 7월, 영국에서 ‘돌리’라는 특별한 양이 태어났어요. 동물이 태어나려면 수컷의 정자와 암컷의 난자가 만나야 합니다. 그런데 돌리는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다른 분류에 속해요. 도롱뇽과 도마뱀, 둘은 어떻게 구분할까요? 도룡뇽 도롱뇽은
개구리
처럼 물과 땅을 오가며 사는 양서류예요. 어릴 때는 아가미로 호흡하며 물속에 살다가, 커서는 폐와 피부로 호흡하며 물과 땅을 오가며 살지요. 도롱뇽은 성체가 되어도 폐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연구 결과로 창업하려는 이들도 많았다. “그들을 직접 만나보니 스스로가 우물 안
개구리
처럼 느껴졌어요. 언젠가는 창업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다시 임상 현장으로 돌아갔던 김 대표는 연구한 것을 암 치료에 활용하고자 혈액종양내과로 펠로우를 시작해, 분과전문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부안 누에타운
기사
l
20250420
누에 관련물건이 있습니다. 3.전시관 전시관에는
개구리
가 있습니다. 청
개구리
도 있었습니다. 여기 황소
개구리
도 있었는데 황소
개구리
가 이렇게 큰 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여기 있는 곤충 표본들은 모두 진짜라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누에의 일생 영상이 있습니다. 누에가 알에서 1,2,3,4,5령누에를 거쳐서 ...
지사탐 양서류 현장교육에 가다
기사
l
20250330
손바닥만한 크기였어요. 얼마나 반가웠는지 몰라요. 탐사 대원들 모두 가장 흥분했던 순간이였습니다. 이렇게 작고 소중한 도룡뇽과
개구리
들이 기후변화와 인간의 무분별한 자연개발에 그 개체수가 현저희 줄어들고 있다고 하니 너무 슬픈일이에요. 오늘 탐사는 한번더 우리가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된 계기가 되었어요. 우리 어 ...
기사콘 챌린지
기사
l
20250320
바위산에 사는 산양들이 있으면 더욱 풍성한 생태계가 될 것 같습니다. 3. 작은 생명들의 보금자리
개구리
: 봄이면 울음소리가 가득한
개구리
들이 있으면 좋겠어요.물방개: 물 속을 자유롭게 헤엄치는 물방개들도 필요합니다.잠자리: 물가를 날아다니는 다양한 색깔의 잠자리들이 있으면 더욱 아름다울 거예요. 4. 생태계 보호를 위한 주의사항- ...
기이한 고양이, 서벌을 아시나요?
기사
l
20250214
전체가 사냥을 해도 성공률이 20%도 안되는데, 서벌은 큰 귀 덕분에 사냥 성공률이 높은 편이에요. 서벌이 물에서 사냥할 때 3시간 동안
개구리
를 30마리까지 잡을 수 있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죠? 귀여보이는 서벌이지만 집에서 사육은 힘들어요. 고양이 사료를 먹지 않고, 고기를 주식으로 하며, 넓은 사육 시설이 필요하고, 운동량이 많고 ...
신기한 생물 5가지
기사
l
20250119
표지 ^ 무시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시윤 기자입니다. 오늘은 신기한 동물을(매우 주관적) 알아보겠습니다. 1. 덤보 문어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678416 이 이름은 아기 코끼리 덤보와( ... 이유는 피부가 반투명하게 만들수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s://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