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립
스페셜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있습니다.” 섣부른 계획이 낳은 비극 익히 알려진 사실이지만 사실 시화호의 목적은
간척
농지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담수호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1994년 방조제가 완공되자마자 수질은 급격히 나빠졌다. 방조제 안쪽이 바깥의 흐름과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 유역내에 큰 하천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갯벌이 밭과 도시로? 새만금
간척
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갯벌이 밭과 도시로? 새만금
간척
지Part1.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Part2. 새만금
간척
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Part3.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 ...
새만금
간척
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만큼
간척
지의 지반이 튼튼해야 해요.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
간척
지를 이루는 흙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입자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무거운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만큼, 시멘트, 석회 등의 물질을 더해 흙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거나 흙에 있는 물을 빼내 지반을 ...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땅이 보였어요. 그곳에서 백로들과 황새들이 물을 마시고 있었지요. 이곳은 새만금
간척
지 사이에서 아직 매립이 되지 않은 수라 갯벌입니다. 수라 갯벌은 방조제에서 물을 들이거나 내보내는 배수갑문을 통해 바닷물을 공급받아 유지되고 있어요. 조개나 게처럼 물 밑바닥에 사는 저서생물은 ... ...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폭염의 피해가 커지고, 고인 물 근처로 벌레가 많이 꼬여 논란이 됐죠. 우리나라에
간척
이 된 곳은 새만금 외에도 경기도의 시화호, 충청남도의 서산 등이 있어요. 대부분 수심이 얕아 매립하기 좋은 서해안에 있지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진박새 탐조와 함께 시작한 윈터윙즈 솔방울 먹이 만들기!
탐사기록
l
20240208
사는 공간에 우리가 지나간다는 느낌으로 조용히 탐조를 하였어요. 그 경험을 통해 새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어요. 새만금
간척
사업 이후에 도요새가 멸종 위기에 놓였는데 도요새가 장거리 비행 중 한국의 순천만을 지나갈 때 쉬어가며 영양을 충분히 먹지 못해 죽거나 멸종 위기에 놓였다는 것을 알고 새를 더 소중하게 여기게 되었습니다.저는 화성에 살아 ...
네덜란드 여행기 3 (암스테르담 인근 교외 지역)
기사
l
20230827
사람은 안좋은 자연환경에서 포기하지 않고 이겨내는 것을 들었는데 우리나라랑 비슷한 부분이 많은 느낌이었다. 네덜란드의 25%가
간척
지라고 하는데 매우 인상적이었던 것 같다. 군데군데 내가 좋아하는 염소, 양, 새, 물고기들이 있어서 즐거운 시간이었다. 이 때 본 동물들은 지사탐에도 올릴 예정이다. 다음으로 Alkmaar 라는 곳으로 갔다. 치 ...
짱뚱어의 특징
기사
l
20221206
그래서 망둑어들도 짱뚱어들의 알을 노려 짱뚱어의 굴 속에 들어가서 짱뚱어들의 알을 먹기도 합니다.일본에서는 이미 많은 갯벌이
간척
되었는데,이로 인해 짱뚱어들이 생존 위기를 겪게 되었습니다.이에 사람들이 갯벌을 지켜 달라고 일본 정부에 소송을 내기에 이르었습니다. 2001년, 일본 정부는 갯벌의 생명력을 찾기 위한 노력을 했습니다 ... ...
인천 청라에는 무슨 새가 살까?
기사
l
20220424
금강 하구 일대에서 월동하고 몸길이는 약 43cm이고 길고 튼튼한 부리로 단단한 껍질의 조개를 잘 잡아먹습니다! 번식기는 4~7월이며
간척
및 해양 환경오염에 따른 서식지 훼손이 주된 위협 요인입니다. 검은머리갈매기 (설명) 날개 길이는 275∼292㎜, 부리 길이는 26㎜,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
우리의 소중한 보물, 갯벌의 종류와 생물들!
기사
l
20211120
노랑부리저어새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받습니다. 주요 서식지인 한반도 서해안의 갯벌이 새만금 등
간척
사업과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건축 매립으로 점차 줄어들면서 위협받는 종입니다. 식물로는 퉁퉁마디가 있습니다. [ 출처: https://blog.naver.com/andyou34/222326591603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