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제향"(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주 탐라왕국의 발상지 삼성혈(三姓穴)에 다녀오다!기사 l20220522
- 나온 구멍들을 보러 갔습니다.총 3개의 구멍이 뚫려 있었습니다. 구멍이 이렇게 뚫려 있다는것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원래 제향(祭享)도 있는데 매년 봄(4월10일)과 가을(10월10일)에 춘 . 추대제와 겨울(12월 10일)에 건시대제를 올린다고합니다. 전 5월에 가서 못봤어요ㅜㅜ 또 삼성혈과 관련된 유적지로는 연혼포,사시장올악,혼인지( ...
- 세종대왕과 효종 대왕의 무덤! 효종대왕릉과 세종대왕릉에 다녀와서기사 l20210417
- 화살 또는 삼지창으로 공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홍살문 뒤에는 향로,어로라는 두가지 길이 있었는데요, 어로는 제향을 드리러 온 왕이 걷는 길이고, 또 향로는 향을 들고 들어가는 곳이라고 하는군요. 그래서 저희 가족은 당연히 어로로 갔답니다. (출처: 제가 모두 다 찍었습니다.) 그리고 오랜 여정 끝에 드디어 저희 가족은 세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7회 김포장릉을 다녀오다 추존원종과 인헌왕후 이야기: 선조의 삐뚤어진 자식사랑기사 l20160424
- 샛노란 완장을 줬다. 늘 그렇듯이 왕릉으로 가는 길은 단아하고 엄숙하다. 금천교에서 홍살문으로 이어지는 길.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수복방,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의 향로와 어로는 직선으로 경사가 졌으며, 중간에 계단을 두어 지형에 따라 설치하였다. 직선으로 난 나즈막한 경사에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주변에 소나무를 심는 이유 중 하나는 각종 해충들로부터 왕릉을 지켜내기 위해서라고 한다. 좀 더 자세한 이유를 알아내야겠다. 제향에 쓸 음식을 마련했던 수라간 능지기가 머물렀던 수복방. 수라간과 수복방 모두 최근에 리모델링 되었다. . 정자각 신계와 어계. 나지막하고 아담한 크기의 어계. 소맷돌의 주름이 인상적이다. 언제 봐도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325
- 아니겠지만 분명 이 자리에서 했음은 틀림없다. 그런 상상을 하면서 한걸음씩 따라가보는 것 또한 왕릉답사만의 묘미다.진입 및 제향 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있는 참도는 직선축이 아닌 절선축으로 조성되었다. 이렇게 기역 자로 꺾인 것은 다른 의도가 아니라 최대한 지형을 훼손하지 않은 채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다녀오다 누구를 위한 반정인가? 굴곡진 삶을 오롯이 닮은 인조 이야기기사 l20151221
- 때문입니다. 조선시대의 예법들은 매우 복잡하고도 엄하답니다. 제사를 마친 임금의 혼령이 능침으로 올라가는 전용 다리입니다. 제향 후 축문을 태우거나 묻는 용도로 사용했던 예감. 저 가운데 뚫린 구멍으로 산소가 스며들어 축문이 잘 타도록 만든 것 같았어요. 왕릉에 있는 것들은 다 의미와 용도가 있는 것이니 저 구멍에도 뭔가 재밌는 사연이 있을 ...
- (문화재퀴즈) 아래 사진은 파주 장릉 정자각 동쪽에 나 있는 계단입니다. 이 중 임금이탐사기록 l20151218
- (문화재퀴즈) 아래 사진은 파주 장릉 정자각 동쪽에 나 있는 계단입니다. 이 중 임금이 제향을 지내러 장자각에 오를 때 사용하는 계단은 어느 쪽이며 그 이름은 무엇입니까? 날씨가 너무 춥네요~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그 앞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인증서가 붙어있어요. 처음보는 것이라 한참을 들여다 보았어요. 하지만 무슨 '왕릉등록증'도 아니고 제향 테이블에 축문인양 매달려 있는 인증서가 썩 어울리지는 않았어요.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란 사실은 이미 너무 유명하지 않나요? 그래도 좀더 가까이서 들여다보니 흐뭇하다. 어쩌면 걸어 둘 가치가 충분할지도 ...
- 두번째 퀴즈 나갑니다. 아래 석물은 온릉의 것인데요. 정자각 뒷편 서쪽에 있는 것입니다.탐사기록 l20151207
- 두번째 퀴즈 나갑니다. 아래 석물은 온릉의 것인데요. 정자각 뒷편 서쪽에 있는 것입니다. 이곳에서 제향 후, 축문을 태웠습니다. 이것의 명칭은 무엇입니까? ...
- @신민주 기자의 여름방학이야기 4탄 문화유산국민신탁의 청소년 아카데미 3일차 8월 1포스팅 l20150815
- 청소년 아카데미 3일차 8월 11날에 동구릉에서 모여 매인 이밴트인 토론,스피드 퀴즈를 하였습니다. 게다가 운이 좋게 제향의식을 치르는 것을 구경하였습니다. '고려충신 대 개국공신'으로 나누어 토론을 할때 떨렸지만 성공은 한것같습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이성계의 무덤인 건원릉에는 고향의 갈대와 흙으로 무덤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청소년아카대미를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