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절멸"(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이 1년동안 이곳에서 버티면 소원 들어준다고 함포스팅 l20250201
- 1. 경신대기근 2. 소련 대숙청 3. 난징대학살 4. 유대인 절멸수용소 5. 호라즘 제국 대학살 6. 스탈린그라드 전투 7. 2차대전 유보트 8. 이오지마 전투 9. 체르노빌 사고 10. 흑사병 11. 아즈텍 인신공양 제물부족 틀락스칼텍 12. 1차대전 베르됭 전투 13. 캄보디아 킬링필드 어디를 고르시겠습니까 ...
- 지사탐 민물고기 현장교육에 다녀오다!기사 l20240518
- 있는데 보를 닫으면 물이 흐르지 않아 흐르는 물에 사는 흰수마자와 미호종개가 사는 곳이 파괴될 것이고 금강에서 이 물고기들은 절멸될 겁니다. 안그래도 멸종위기종 1급인데 금강에서도 사라지면 물고기들은 살 곳이 거의 사라질 것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곳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음해에도 이곳에서 이 물고기들을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
-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시아,오세아니아 편기사 l20240224
- 하지만 마오리족에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하여 1445년 비교적 크기가 작은 고원모아가 멸종되면서 모아라는 종은 지구상에서 절멸해 버렸습니다. 9.태즈메니아 주머니늑대 서식지:호주 태즈메니아 섬 멸종연도:1936년 멸종이유:환경변화,딩고 유입 원래는 호주대륙에 많이 분포되어있었는데 환경변화와 딩고가 유입되면서 태즈메니아 섬에서만 살아남았 ...
- 그리스로마신화/인간의 탄생(5/8)기사 l20230408
- 제우스는 분노해 프로메테우스를 코카서스 산 꼭대기에 묶어 놓고 끔찍한 형벌을 내립니다. 제우스는 그후 홍수를 통해 인간들을 절멸시킵니다.하지만 생존자 데우카리온과 퓌라(프로메테우스의 아들과 며느리)는 인간들을 되살립니다. 우리는 이 이야기를 들으며 많은 일을 알 수 있습니다.프로메테우스의 미래를 대비하는 성향은 프롤로그가 되었고,에피메테우스의 ...
- 스라소니에 관해서기사 l20230320
- 포식자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강한 스라소니에게도 천적이 있습니다. 바로 호랑이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야생에서는 호랑이가 절멸하여 이제 동물원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스라소니가 최상위 포식자인 것 입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스라소니가 멸종위기 야생동물이라는 것입니다. 이 사실을 알고 난 뒤, 서울대공원에서 만난 무척 멋졌던 스라소 ...
- 위촉일발! 멸종위기동물들! TOP 11!기사 l20220924
- 불가피하게 서서히 멸종되고 있습니다. 6위 자바코뿔소 출처: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0070210460000486 60마리 이하 생존, 야생절멸 이 코뿔소는 한때 아시아의 가장 남쪽 부근 전역에서도 상당수가 서식했지만 무단밀렵으로 인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일부 국립공원에서도 적은 수가 ...
- 가장 큰 악어,오리노코악어에 대한 것!!!기사 l20220221
- 5.2m가 됐다네요.슬퍼요.그쵸? 암컷의 평균 몸무게는 225kg이라네요.그럼 수컷의 몸무게는..아....좀 무섭네요.깔리면 질식할 수도 있지만 절멸위기종이라서 만날 일이 없네요.자,계문강목과속종 나갑니다!동물계-척삭동물문-파충강-악어목-크로커다일과-크로커다일속입니다.아!궁금하셨죠?말을 못했네요. 오리노코악어는 오리노코악어종,블랙카이만은 블랙카 ...
- 안타깝게 멸종이 된 새들이 있다고?기사 l20220121
- 이미지 몸길이: 50cm 살던 곳: 아메리카 대서양 멸종시기: 1878년 까치오리는 원앙속에 속하는 종으로 절멸했고 사람의 접근을 매우 혐오하는 그 생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19세기 무렵, 맨하탄과 롱아일랜드 지역에 수요가 급증하였는데, 까치오리는 사냥 대상이 되었고 결국 멸종했다. 5. ...
- ꧁༺어룡과 수장룡 배틀 토너먼트༻꧂기사 l20211118
- 크게 번성했으나 쥐라기 중기부터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 공룡들의 멸종 시기보다 훨씬 이른 시기인 백악기 중기에 절멸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상어에게 생활권이 뺏긴 것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수장룡 역시 중생대에 살았던 바다의 또 다른 지배자입니다. 장경룡 또는 사경룡이라고도 하는데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대로 부르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흔 ...
- 생태계 교란종, 더 이상 다른 동네의 일이 아니다! 교란종의 위험성기사 l20211031
- 계곡을 점령하기도 하죠. 근데 이중에서 1미터가 넘는, 어쩌면 여러분만큼 큰 외래종이기도 한 배쓰, 갈색송어 등은 토종 물고기를 절멸시킵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대적할 크기의 가물치, 노래미, 쏘가리 등은 맛있기에 모두가 선호하며 개체수가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 생태계 교란종들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죠. [실제 대황강의 상황] [수많은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