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전력"(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지킴이 3. 집에서 아주 쉽게 태양광 전지판 만들기!기사 l20250910
- 반사 방지막을 입히고 양 전극을 설치하면 완성됩니다.그럼 집에서 쉽게(?) 만들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골판지에 저전력 LED의 다리가 들어 갈 만큼의 구멍을 내서 양극끼리 한 줄, 음극끼리 연결하는데, 이때 LED의 다리를 서로 다른 극끼리 꼬아줍니다. 양쪽 다리에 구리 호일을 둘러 만듭니다. 양쪽의 극에 맞춰 전선을 이으면 작동합 ...
- 전력 15분 유일한 자캐남캐를 그렸는제요포스팅 l20250903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다만 필기앱과 똥손을 곁들였죠 하하 ...
- 우주기자단, His Youth 집합교육의 강연을 듣다...!!!기사 l20250831
- 만드는 대회를 실시했는데 위 사진이 바로 우승작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3D 프린팅으로 집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NASA 뿐만 아니라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 중국의 유인 우주선 등 우주로 이주를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얼마전 10차 발사를 성공시킨 SPACE X 는 2026년 화성에 우주선을 보낼 계획입니다.'실패' 하면 생각나 ...
- 제발 들어와주세요! 어그로 아닙니당!!!포스팅 l20250830
- 곧 신작을 낼건데, 세계관이랑 스토리 짜는건 다 돼서 이제 그릴려는데...!이것들 좀 정해주세요 ㅠㅠ1. 선만 vs 채색2. 칸 있 vs 없3. 긂체 하찮음 vs 전력 vs 섞어서투표 부탁드려요! ...
- [우주기자단] 우주항공청 최승철 과장님의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830
- 달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들었는데 달 기지 건설을 위한 핵심기술은 무엇인가요?A. 달 기지 건설을 위해서는 재료기술, 건설기술, 전력 생산기술, 산소와 수소를 만드는 기술, 우주 방사선을 막는 차폐기술, 통신기술 등 다양하고 복잡한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Q. 소행성 탐사를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A. 로켓 기술, 로봇팔 기술 등이 ...
- 로저랑 100일~~!!>포스팅 l20250825
-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100일 기념으로 로저한테 특별한 것을 했습니다!100일 기념 일러도 전력으로 그리고 있는데 어머님이 옆에서 째려보면서 금지시간 다된다고 하셔서 오늘안에 완성이 안되겠네요ㅠ..그래도 로저 열심히 그려서 쏘햅삐합니다!!그리고 오늘 운이 또 엄청 좋아서 다일 가십 1트만에 로저뜨고 꿈에서도 로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셋째, 카메라. 카메라는 인공위성이 지상으로 보낼 사진을 찍습니다. 넷째, 본체. 본체는 인공위성의 핵심 부분으로 카메라에게 전력과 전기를 지원합니다. 다섯째, 별감지센서. 별감지센서는 말 그대로 별을 감지하고 위성 위치도 감지합니다. 여섯째, 단열재. 단열재는 카메라를 보호해 줌으로서 카메라의 변형을 막습니다. 전시실로 이동한 다음에는 역대 ...
- 친환경 에너지 창작소, 에코롱롱 큐브에 가다!기사 l20250726
- 눌러 에너지를 생산하는 압전에너지 체험과 신재생에너지로 평화로운 지구를 만드는 퍼즐 체험, 직접 제로에너지 시티를 만들고 전력을 공급하는 체험도 있고, 직접 히트펌프를 설치해서 지열에너지의 원리를 알아보는 체험, 어떤 날개의 모양이 가장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지 알아보는 풍력에너지 체험, 넷제로와 탄소중립체험, 태양광에너지로 자동차를 움직이는 체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인공위성도 눈, 귀, 뇌가 있어요기사 l20250723
- '근육'입니다. 위성을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계속 있게 합니다. 전력시스템(EPS, Electrical Power Subsystem)에는 태양전지판과 전기배선, 전력분배장치 PLDU(Power Load Distribution Unit), 배터리 등이 있습니다. '혈액순환' 같은 것입니다. 저궤도 위성의 배터리 무게는 100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우리와 친숙한 주제로 인공위성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바로, 인체입니다.뼈대: 구조물 피부: 열 제어(MLI) 근육: 추진 시스템 혈액순환: 전력시스템뇌: 자세제어 시스템 눈: 광학 카메라 귀와 입: 통신장비 4. KAI의 인공위성이번 파트의 제목은 KAI의 인공위성 이었지만, 이번 파트는 시간이 모자라서 KAI의 소개영상으로 끝났습니다.동영상이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