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실"(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통난을 해소하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기사 l20240608
- 여러 첨단 요소들이 가득하기 때문이죠. 또한 저렴한 요금과 환승할인도 외국인들을 매우 놀라게 한다고...... 참고로 한 가지! 지하철 유실물 59%가 전자기기라고 하니, 전자기기가 선로 틈으로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그럼 이상으로 기사를 마칠께요~ 감사해요 ... ...
- 탐사기록 l20220629
- 친환경 우렁이농법 1. 조사 지점: 서천군 판교면 문곡리 253-16 2. 조사 날짜: 2022년 6월 28일(화)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 흙수로 + 콘크리트 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 차단망 없음: 8곳 - ... 물을 빼는 곳에 차단망이나 포집망이 아예 없음. 논에 ...
- 지구온난화때문에 2100 황제펭귄이 없어진다!?기사 l20211201
- 사는 동물들은 서식지, 먹이등을 구하기 어려워져요. 또 새끼들을 낳기가 힘들어졌어요. 온도가 1.5도씩 증가한다고해요. 2100 빙하의 5% 유실되서 황제펭귄에 서식지가 19%까지 될 수도 있다. 그럼 다시 회복 할 수가 있을까요? 아니죠 다시 회복하기 힘들겠죠? 출처: https://m.blog.naver.com/koryo159/222189 ...
- [다이노 월드-15] 공룡에 관한 헷갈리는 사실들기사 l20211130
- 예전 만큼의 추정치는 아니지만 인정받는다면 그래도 쥐라기 시대의 가장 큰 공룡에 이름을 올릴 수는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뼈가 유실되어 정확한 추정은 불가능하고 여전히 27~100m로 갭이 매우 큽니다. 정확한 암피코일리아스의 뼈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새 공룡으로 인정받을 수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100m는 너무 오버하는 것 같고요, 아마 ...
- [다이노 월드-2]가장 큰 공룡기사 l20211018
- 역사상 가장 많은 공룡의 이름을 지은 학자들 중 한 명인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현재 뼈는 안타깝게도 유실된 상태이고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그린 그림과 골격도만 남아 있는데, 이를 분석하여 크기를 알 수 있었습니다. 한동안 '암피코일리아스 프라길리무스' 라는 학명과 '암피코일리아스 알투스' 라는 학명들을 두고 논쟁이 ...
- 지갑이 사라졌어요!포스팅 l20210523
- ㅈㄱㄴ고요, 무인아이스크림할인점에서 동생 줄 반지사탕을 사고 나서 사라졌어요...온 가족이 총출동해서 찾아봤는데도 없는것 같아요ㅠㅠ지갑에 50만원 있는뒘ㅠㅠ어떡하죠?? 유실물 센터에도 없구ㅠㅠ (그나저나 제목 엄청난 어그로다) ...
- 불교문화재에 다녀와서기사 l20210520
- 참고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1.청동소탑 청송소탑인데요,청동으로 만든 게 느껴지네요! 불교문화재 도서에 따르면,도금 부분은 일부 유실되었고 일부는 녹으로 덥힌 상태라고 하네요..아쉬워요. 2.고려국조명경 불교문화재 도서에는 대중국 수출을 위한 고려 동경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데요,고려는 청동이 유명했다고 하죠? 3.법라 와..보기만 해도 초대형 ...
- 흰 동물들의 비밀 알비노와 루시즘에 대해 일아보자기사 l20210216
- 발현된 안시입니다. 두 안시에게서 찾을 수 있는 다른 점이 보이나요? 네 바로 '눈' 입니다. 알비노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색소가 유실되기 때문에 일부 활성화되거나 생산되는 멜라닌 세포만 남아 색이 온몸에서 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루시즘의 경우에는 단순히 색소세포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부분에는 색과 무늬가 남아있지만 또 일부분은 ...
- 로보로브스키와 닮은꼴!!바로 펫테일 저빌기사 l20201021
- 안녕하세요~ 황은서 기자입니다. 오늘은 로보로브스키와 닮은꼴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출처:도치야) 이렇게 생긴 아이인데요~ 근데 이 아이가 펫테일 저빌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다시 위를 보고 와 주세요. 위를 보고도 이해가 안 된다면 밑에를 ... 두기 때문입니다. 네~~지금까지 알려드렸눈데요. 제가 알려드린 정보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지 ...
- 우리나라에 왔던 가장 센 태풍 TOP 3기사 l20200603
- 이래 중심부 최저기압이 가장 낮은 (950hPa) 태풍으로 인명 130명, 4089세대 1만975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도로 교량 및 각종 시설들이 유실되거나 파괴되었습니다. 3. 태풍 올가 발생일:1999년 7월 23일~ 8월 4일 재산피해액:10490억원 1999년 8월 3일에 한반도에 강타한 태풍입니다. 7월 31일부터 중부지방에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