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생"(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주 소라가 동해로 갔다고?! [ 어과동 500호 ] ; )기사 l20250716
- 가속화되고있기 때문입니다.온난화가 가속화되어 제주소라가 왜 동해로 갈까요?그 이유는 소라는 25도 내외에서 자라는 소라 유생이 해류를 타고 뜨거워진 제주 해역보다 동해 연안에 정착해 서식지를 넓힌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고수온 현상은 제주 소라 게체 수에도 영향을 미칩니다.이제부터 우리가 이런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서 해야하는 일은 신재생에너 ...
- 저빌탐사대 - 240512 - 1탐사기록 l20240512
- 올챙이 사이에 도룡뇽 유생들이 있었어요 ...
- 넓적이를찾아서 - 240421 - 4탐사기록 l20240421
- 안산 자락길에서 채집한 도롱뇽 유생입니다.빨라서 채집하기 어려웠고 돌출된 아가미가 눈에 띄었습니다.약 3cm로 추정되고 도롱뇽 알이 많은 것을 보니 서식지 같습니다. ...
- 넓적이를찾아서 - 240421 - 2탐사기록 l20240421
- 안산 자락길에서 발견한 도롱뇽 알 껍질입니다.올챙이도 채집하였으며 현재 유생이 아주 많습니다. ...
- 넓적이를찾아서 - 240421 - 1탐사기록 l20240421
- 안산 자락길에서 발견한 도롱뇽 알입니다.죽은 유생이 조금 있었으며 낳은 지 오래 된 것 같았습니다. ...
- 기사 l20221126
- 뜨거운 기후를 좋아하고, 육지 생활에 적응되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육지에 적응되었기 때문에 알은 조에아, 메갈로파*** 유생을 거치지 않습니다. 그덕에 번식률이 좀 높은 동물입니다. 이러한 특징들 덕에 반려동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저도 뱀파이어 크랩을 키우고 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제철 꽃게 손질법] 꽃게 암수 ...
- 턱이 없는 물고기, 다묵장어(Lethenteron reissneri)기사 l20221104
- 도감으로만 보던 다묵장어를 실제로 본 저는 흥분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학생이던 그 때의 저는 추운 강원도의 2월에 다묵장어 유생을 관찰하고 기뻐서 추위가 싹 날아가는 경험을 했습니다. 앞으로 환경을 잘 보존하고, 열심히 활동하여 우리 후세에게도 다묵장어를 보여주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반 시민들의 관심이 필요하고, 그 관심으로 ...
- 자기 뇌와 신경을 먹는 생물이 있다고?기사 l20220927
- 출처:https://naver.me/FDXKRFSa 바로 이 멍게에요. 멍게는 척삭동물문 멍게과에 속하는데, 어린시절엔 올챙이와 비슷한 모습이에요. 멍게유생은 안점, 후각계, 뇌, 지느러미, 신경 등을 가지고 적당히 살곳을 찾아다녀요. 시간이 지나 멍게가 성체가 되면 한 곳에 정착해 살게되지요. 그리고 민감했던 기관들은 모조리 스스로 소화해 ...
- 장태산 자연휴양림, 이끼도롱뇽을 찾아서~기사 l20220908
- 표시해 보았습니다. 지사탐 필드가이드에 보면 유생 시기부터 발가락 끝에 검은색 발톱이 보인다는 설명이 있어 꼬리치레도롱뇽 유생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그 뒤 한참을 도랑 근처 이곳 저곳을 살펴보았지만 더 이상 특별한 건 안 보이네요. 피곤하고 슬슬 배도 다시 고프고 해서 원래 찾고자 했던 이끼도롱뇽은 보지 못했지만 ...
- 오마에와, 너는 누구야? 아홀로틀! (우파루파)기사 l20220104
- 다시 재생한답니다. 아홀로틀이 어떻게 그렇게 재생하는 걸까요? 혹시 도마뱀의 꼬리가 재생되는 원리와 비슷하답니다. 정확히는 유생 상태로 머물어서 그렇죠. 그 재생이 심장을 이식받아도 그것에 대한 거부 반응 없이 재생했다네요. 놀랍지 않나요? 아홀로틀, 인터뷰해줘!Q: 우파루파, 한국에서는 왜 그렇게 불려요?A: 일본에서 아홀로틀을 우파루파라고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