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방언"(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끝말잇기 꿀팁포스팅                                        l20240406
 
                            - 1. 원소이름 외우기그냥 외우세요  2. 옛날 말, 방언 외우기그냥 외우세오 3. 어려운 단어로 끝나는 말 외우기그냥 외우세요 ...
                            
 
                        
                        
                                            
                                                        - (제주 4ㆍ3) 무명천 할머니 이야기기사                                        l20240117
 
                            - 실제 모습입니다. 무명천 할머니의 진짜 성함은 '진아영'할머니. 제주도에서는 '모로기 할망'으로 불리셨습니다. 모로기는 제주 방언으로 '언어 장애인'이란 뜻입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무명천 할머니는 제주 4ㆍ3중에 북제주군 한경면 판포리 집 앞에서 경찰이 무장대로 오인하여 쏜 총에 턱을 맞고 쓰러지셨습니다. 총에 맞아 너덜너덜 해진  ...
                            
 
                        
                        
                                            
                                                        - 말로하지 않고 키보드로 하는 끝말잇기#1기사                                        l20230822
 
                            - 같은 단어는 쓸 수 없습니다.   깐깐은 방언과 옛말 북한말을 제외한 모든것들을 쓸 수 있게 만듭니다. 북한말은 화학에 많이 있고 방언과 옛말은 우리가 일상시에 사용하는 단어에도 들어있습니다. 중도입장 불가는 게임중에 들어갈 수 없게 만듭니다.   지금까지 한국어 끝말잇기의 기본을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방학이라 심심하기도 할건데 끝 ...
                            
 
                        
                        
                                            
                                                        - (챌린지)조선을 누빈 나비 박사 석주명기사                                        l20230731
 
                            - 주셨습니다.그리고 한반도의 나비를 세세하게 분류하고 특색에 맞는 우리말 이름을 지어주기도 하셨습니다. 또한 박사님께서는 제주 방언에 대한 논문과 에스페란토어 교과서를 쓰는 등 언어학자로도 활동하셨다고도 합니다. 석주명 박사님께서 '나비 분포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일본,몽골,사할린,만주,대만등과 같은 여러나라들을 다녀오셨습니다. 그런데 1950년 ...
                            
 
                        
                        
                                            
                                                        - 지사탐 부산 바닷물고기 현장교육기사                                        l20221022
 
                            - 복섬) 독이 심해 식용불가랍니다.   노래미(20~30센치 자람) 줄노래미, 쥐노래미,노래미로 3종이 있습니다. 풀망뚱(꼬시래기라는 부산 방언이 있습니다.) 청베도라치 보통 굴 껍데기(패각)에서 은신하면서 서식하는 어류라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발견하기 힘든데 발견한게 대단한 거라고 하네요! 때문에 연구도 더디다고 해요.  오늘 지사탐 현장교육 ...
                            
 
                        
                        
                                            
                                                        - 7777777기사                                        l20220803
 
                            - 판정법이 존재하지만 7만은 배수 판정법이 유달리 까다로워. 칠게이뿌럭지 , 칠게이뿌레기, 칠게이뿌렝이, 칠게이뿌리기는 '칡뿌리'의 방언이야. 그런데 이 단어 또한 '7'로 시작하지. 일부 고대인들은 7을 위대한 숫자로 모셔 신으로 모시기까지 했다는 가설도 떠돌았을 정도였다니까. 하지만 역시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정 되었지. 그리고 내가 가 ...
                            
 
                        
                        
                                            
                                                        - 국어퀴즈포스팅                                        l20220312
 
                            - 조세구는 갑자기 폭주기관차로 돌변해 굿컴을 (    )로 어겼다.   괄호는?  1. 뭉탱이 2. 뭉텡이 3. 뭉텅이   표준말만 됩니다 방언 안되요 ...
                            
 
                        
                        
                                            
                                                        - 저도 또(?) 모임을 만들까 합니다포스팅                                        l20220123
 
                            -   안녕하세요거트   옛날에갓집 (외갓집의 방언)   어떤 기자분이름   이 말투를 쓰는 모임을 만들어보라고슴도치   추천을 받았는데리운전   해볼까요가?   하지말까요트?   어떻게할까요구르트   여기서 동의가 5명 이상 있으면발   해보겠습니다람쥐   미션은 막 이 말투로 글쓰기러기   이 말투로 시쓰기찻길    이런 걸 해볼 거에요구르트  ...
                            
 
                        
                        
                                            
                                                        - Z는 지라고 말해야 할까? 제트라고 말해야 할까?기사                                        l20220107
 
                            - 넘어왔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는 어디서 왔을까요?   [zl:]라는 발음법은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변화로, 미국에서만 사용되는 일종의 방언입니다. 미국에선 왜 지를 더 선호하냐면 발음이 쉽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선 지보다 제트가 많은 이유는 지라고 적으면 G인지, Z인지 헷갈리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권 ...
                            
 
                        
                        
                                            
                                                        - 끝말잇기할때 쓰기좋은 한방단어들(겹치는단어 있음)포스팅                                        l20211005
 
                            -  원자 번호는 12, 원자량은 24.31. 미 - 미쁨: ‘하품’의 옛말. 바 - 바랗: '바다'의 옛말. 사 - 사굠: 새김. 풀이. (옛말) 성 - 성놔: '성냥'의 방언(평북). 수 - 수탉: 닭의 수컷. 아 - 아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괴로운 느낌. 이 - 이웆: ‘이웃’의 옛말. 자 - 자켓: → 재킷. 장 - 장사꾼: 장사하는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