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남쪽"(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로 날아가는 대한민국의 꿈!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 비밀을 알아봤어요기사 l20250423
-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가 제일 남쪽이지만, 여러 이유로 고흥이 선택됐어요.” 즉, 고흥은 바다와 가까워서 안전하고, 남쪽에 있어서 연료를 아끼는 데도 도움이 된대요. 팀으로 함께하는 우주 개발 예전에는 우주 개발을 한 나라가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여러 나라가 힘을 합쳐 팀을 만들어 우주 개발을 해요. ...
- 만약 펭귄이 북극에 간다면........기사 l20250407
- 남극에 간다고 해보겠습니다. 북극곰이 생긴 이유는 40만년 전 간빙기 때 불곰들이 북극에 있었던 자리에서 서식하다 빙하기가 오니 남쪽으로 몸을 피했습니다. 그런데 미처 피하지 못한 불곰중 일부가 추위를 지켜내고 북극곰으로 진화한 것입니다. 사실 그 정도 추위를 버티면 남극에 가서도 살수 있었을 텐데 아직 해 보진 않았고 펭귄들이 멸종 될까봐 그 ...
- 마당에서 잡은 도마뱀탐사기록 l20240929
- 아직 새끼 같아 보이는 도마뱀.. 찾아보니 남쪽에 사는 아이 같은데 청평까지 올라왔나봐요ㅠㅠ10월부터 동면을 한다고 해서 관찰하고 바로 놔주었습니다~~내년에 커서 만나자~~ ...
- 세상에서 가장 추운 나라TOP10(1)기사 l20240911
- 이유를 알겠네요.ㄷㄷ..... 5위.키르기스스탄(연평균 2.16도) 세계에서 가장 추운 나라 5위는 중앙아시아 내륙국이고 러시아 남쪽에 위치한 키르기스스탄입니다 여름은 약간 따뜻하고 혹독한 겨울이 길다고 합니다. 연평균 기온은 2.16도이며 가장 낮은 기온은 무려 -53.6도라고 합니다. ...
- -부산 벡스코기사 l20240831
- 공룡 발자국이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먹이가 풍부했음을 생각할 수 있는데 대륙이 중국, 우리나라, 일본으로 나눠지기 전 우리나라의 남쪽 지역이 지금의 미시간 호수만큼이나 큰 호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다른 부스들도 보고 싶었지만 기차 시간 때문에 아쉬움을 뒤로 하고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허민 교수님은 한반도의 공룡과 다이노소 ...
- 퀴즈8.포스팅 l20240622
- 1.눈감고 먹는 술은?2.호떡을 찾으세요.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떸호떡3.너이스가 미국에 가면?4.1+1×1-5=?5.99-100=?6.99-999=?7.집트가 2개면?8.질랜드가 새로우면?9.베트가 남쪽에 있으면?10.스라엘이 2개면? ...
- 북한에서 날아온 오물 풍선기사 l20240608
- 고연주 기자 입니다. 여러분 혹시 북한의 오물풍선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북한이 28일밤부터 남쪽을 향해서 오물과 쓰레기를 담은 풍선들을 날려 보냈습니다. 출처 : 데일리한국(https://daily.hankooki.com) 북한과 가까운 경기, 강원을 비롯해 멀게는 경남과 전북에서도 풍선이 발견됐습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
- 백로들이 많은 곳 , 금남 백로 서식지기사 l20240511
- 여겼다고 하네요. 아래 사진이 백로를 찍은 것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백로는 여름철새입니다. 봄과 여름철에 알을 낳고,가을에 남쪽나라로 이동해 봄에 다시 돌아오죠. 국내 17종,전 세계 61종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백로 중 노랑부리백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입니다. 금남 백로 서식지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저도 ...
- 여기로 모이 새 ~~~~기사 l20240326
- 쇠기러기와 큰기러기는 겨울에 순천만습지에서 시끄럽게 울며 있던 모습을 보았습니다. 겨울 철새들입니다. 여름철새는 봄에 남쪽에서 날아와 번식을 하고 가을과 겨울애 돌아갑니다. 우리집은 관악산과 가깝습니다. 여름에는 뻐꾹이의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뻐꾸기 우는 소리를 녹음해 보아야겠습니다. 여름 철새입니다. 깃털 색도 이쁩니다. 그 ...
- 새 TMI 4편- 겨울가객 두루미기사 l20240303
- 합니다. 두루미는 하얀색이기 때문에 눈이 많이 내리는 철원에 재두루미는 식물성 먹이를 좋아하기 때문에 농경지가 넓은 남쪽 주남 저수지에 흑두루미는 어두운 검은색이기 때문에 어두운 자작나무숲 혹은 순천만 습지에서 많이 관찰이 됩니다. 또한 온도에 대한 민감성으로 서식지가 구분이 됩니다. 두루미는 철원이남으로 더 이상 내려갈수 없습니다. 그와 반대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