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괄약근"(으)로 총 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기는 꼭 트림을 해야 할까?기사 l20230729
- 선다고 해서 음식이나 위산이 넘어오지 않는 것은 이 근육이 식도와 위를 잘 막아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기들은 하부식도괄약근이 미성숙해서 문이 잘 열리고 그 때문에 잘 토하지만 먹을 때 들어갔던 공기 역시 잘 배출되는 구조입니다. 에 실린 이 연구는 객관성과 과학성이 높은 연구 방법인 무작이 대조군 시험 방법으로 71싸의 어머니들과 3 ...
- 똥탐사기록 l20221204
- 소화과정의 순서는 입,목젖,식도,위, 십이지장,소장,대장,항문입니다.그리고 장에 좋은 세균은 젖산균이고 화장실을 가리키는 WC는 water closet을 뜻합니다.퇴비는 배설물을 썩힌 거름이고 사향고양이가 커피 열매를 먹고 싼 똥에서 껍질이 벗겨진 커피 원두를 골라내어 만든 커피는 코피루왁이라고 합니다.항문을 조이는 작용을 하며 대변의 배출을 조절하는 기관 ...
- 똥? 오줌? 뭐가 더 참는 게 힘들까?기사 l20220122
- 뇌에 똥이 마렵다는 신호를 보내지요. 이에 따라 똥이 항문을 거쳐 나오게 되죠. 신호가 왔는데 화장실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 괄약근을 꽉 조이며 참아내면 똥은 직장에서 대장으로 되돌아가요. 그럼, 대장은 똥의 수분을 빨아들여 부피를 줄이고, 다시 음식물 찌꺼기가 더 모일 때까지 보관한답니다. 그래서 똥은 한 번 위기를 넘기면 한동안은 견뎌낼 ...
- 똥을 보면 건강이 보인다..건강한 대변은 황갈색, 바나나 굵기, 말단 결장 모양 대변은 냄새보다 횟수·색깔·모양에 집중기사 l20141113
- 1회 혹은 2회, 껍질을 벗긴 바나나 정도(지름 2cm)의 굵기로 부드럽게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어린이의 대변이 의외로 굵은 이유는 항문 괄약근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굵기가 지름 2cm 이상으로 굵다면 아이가 변비를 겪는 것은 아닌지 눈여겨봐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