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경종"(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 도심 속 역사 경희궁기사 l20210607
- 정전이에요. 경희궁 창건 당시에 건립되었고, 국왕이 신하들과 조회를 하거나 궁중 연회 등 공식 행사가 이루어진 곳이에요. 특히 경종, 정조, 헌종 세 임금의 즉위식이 이곳 숭정전에서 거행되었지요. 자정전이란? 경희궁의 편전이에요. 국왕이 신하들과 회의하거나 경연을 여는 등 공무를 수행히던 곳이지요. 숙종이 승하하였을 때 빈전으로 사용되었으며, ...
- [채까님 글쓰기 이벤트 참여] 별포스팅 l20210513
- 달려들었다, 막현던 수도꼭지가 터지듯이. 순식간에 전세계가 혼비백산이 되었다. 도망치던 인간들은 중종들에게 물어뜯기거나 경종들의 총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뿐이였다. 「비상입니다. 비상입니다. 전 세계의 수인들이 인간을 멸종시키려고 작정을… 치지직…」 라디오로 상황을 보고하려던 정부도 갑자기 끊기는 통신에 당황하다가 문을 박차고 들어와 으르렁대는 ...
- 챋가밈 글쓰기이벵 질문들~!~!포스팅 l20210511
- 아닌 수인이라고 표현하셔서.. 각인같은건 안 넣을거고 중종, 경종, 혼현 같은 용어들이요!!((혹시 피스톨즈세계관을 모르신다면.. 어.. 경종은 약한 잡식이나 초식동물, 중종은 맹수같은 동물들, 혼현은 동물일때의 모습이라고 모시면 되겟습니다..! 2. 주인공 이름은 마음대로 정해도 되나요? 주인공 친구 이름까지도요. 3. 쓰다보니 ...
- 세계 유산 조선 왕릉 의릉에서 봄을 느끼다기사 l20210404
- 왕위에 오른 지 4년 만에 37세로 창경궁 환취정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선의왕후 는 1718년 경종의 두 번째 왕세자빈이 되었고, 경종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습니다. 영조가 왕위에 오른 후 왕대비가 되었으며 1730년 26세로 경희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더 자세한 의릉의 관람 정보와 관람 포인트는 서울 의 ...
- 우리나라의 18대 임금, 현종! 과연 무얼 했을까?기사 l20200930
- : 진짜 한 일이라곤 단종을 도와줄 신하 소집 뿐... 2. 예종 : 솔직히 말해서 남이 장군 왜 죽였죠? 3. 현종 : 이 분은 초특급 모름;; 4. 경종 : 노론이랑 소론이랑 넘넘 힘드셨던 분... 이 중에서 전 세 번째 현종에 대해서 말해볼게요. 일단 많은 사람들이 현종이 뭘 한 거에 대해서 얘기하면 "그런 일을 했어?"라는 듯 대부 ...
- 내가 이걸 왜 외우고 있지포스팅 l20200322
- 태정태세문단세예선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1대 태조2대 정종3대 태종4대 세종5대 문종6대 단종7대 세조8대 예종9대 성종10대 연산군11대 중종12대 인종13대 명종14대 선조15대 광해군16대 인조17개 효종18대 현종19대 숙종20대 경종21대 영조22대 정조23대 순조24대 헌종25대 철종26대 고종27대 순종왜 외우고 있어 ㅋㅋ ...
- 과거의 관리들은 어떻게 월급을 받았을까?기사 l20200317
- 것을 실시하였습니다. 고려 경종 때 처음 시행되었으며 여러 차례 바뀌었습니다. 처음에는 역분전을 실시 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경종 때 시정 전시과를 실행하였습니다. 전, 현직에게 지급되었으며 인품을 따졌습니다. 여기서 인품은 개국공신 같은 것을 말합니다. 그 후 고려 목종 때 개정 전시과를 실행 합니다. 전, 현직에게 지급되었고 인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뒤주의 비극이라는 조선 역사상 최악의 시나리오가 없었다면 조선의 역사는 또 어떻게 바뀌었을까? 어쩌면 오해일지도 모르는 경종 독살설의 주범이라는 미스터리와 혹은 무수리의 아들이라는 콤플렉스 그리고 자신의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인 비정하고 냉혹한 아버지이자 군주라는 오명을 남긴 영조. 그 인격적 콤플렉스는 어쩌면 너무나 사랑했던 ...
- 인평대군의 묘역을 다녀오다. 조선의 임금들이 가장 사랑한 대군.기사 l20151115
- 볼모로 가 겪었던 고초와, 그 후 사신으로 청나라에 가서 외교에 중책을 수행한 공적 등이 적혀있다. 제1비는 숙종 19년(1693)에 쓰고 경종 4년(1724)에 세운 것으로 전면에 효종 후면엔 숙종의 어제어필이 새겨있고, 제2비는 정조16년(1792)에 세운 것으로 상단에 영조, 하단에는 정조의 어제어필이 새겨있다. 인평대군치제문비는 조선시대 ...
- 안전!!우리가 책임진다!! 소방관 보라매 안전체험관에서기사 l20150216
- 수 있어, 감명 깊게 관람하였다.그 중에서 제일 인상 깊었던 것은 완용펌프(수총기)였다.1716년경 네덜란드에서 만들어져 중국을 통해 경종 3년에 수총기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오게되었다. 획기적인 발명품이란 생각이 들었다. 재난 사고들을 연대 별로 전시해 둔 전시관을 둘러보며, 가슴 아픈 사건들을 접했지만 특히,내가 태어난 해에 일어났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