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후속"(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09
- 불.가.능.파란 장미의 꽃말이다. 파란 장미는 자연적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위스키 제조회사인 산토리(Suntory)와 호주 벤처인 플로리진(florigene) ... 데에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며 “일정한 색과 품질을 가지는 푸른 국화를 만들기 위한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건설 2007년 ‘가구야’로 불리는 달 궤도선인 ‘셀레네’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일본은 후속으로 ‘우즈메(UZUME, Unprecedented Zipangu Underworld of the Moon Exploration)’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우즈메 프로젝트의 핵심은 ‘셀레네 2호(위 사진)’를 달에 보내 땅 속을 조사하는 것이다. 하루야마 주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새로운 공룡 계보를 제안했어요.연구에 참여한 데이비드 노먼 연구원은 “만약 다른 후속 연구들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8000x’에 비해 아주 가벼워졌죠.더 작아지고, 더 가벼워지다!모토로라는 ‘마이크로택’ 후속작으로 ‘스타택(StarTAC)’을 선보였어요. ‘스타택’은 화면을 접을 수 있는 최초의 폴더폰으로, 당시 인기가 엄청났다고 해요. 약 80g의 무게로 ‘다이나택 8000x’에 비하면 10배나 가벼워졌답니다. 이후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8
- 가장 높았고, 동남아시아 인을 분류할 때는 72.16%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 교수는 “후속 연구로 상염색체 STR이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해 민족을 구분하는 예측력을 높여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최근에는 놀랍게도 얼굴의 생김새까지도 추정할 수 있는데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07
- 동반 파멸을 꾀하는 악의적 행동이 이론적으로는 자연 선택될 수 있음을 해밀턴 본인이 후속 논문에서 직접 바로잡으라고 프라이스가 알려준 것이다.악의적 행동 = 혈연이 손 안 대고 코를 풀게 도와주는 이타성뭐? 유전적 근연도가 음수가 될 수 있다고?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근연도는 ‘관계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
- 일으킬 수 있다는 의혹이 제시됐고, 70~80%이던 백일해 접종률이 40%대로 떨어지기도 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백일해 백신과 뇌손상에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입증된 뒤에야 접종률을 다시 높일 수 있었고, 1992년에는 백일해 백신 접종률이 91%까지 높아졌다.그러나 얼마되지 않아 다시 영국에서부터 2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07
- 침출수가 나온다. 김 본부장은 “과불화화합물의 최종 배출량을 관리하는 방안 쪽으로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며 “생산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과불화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07
- 속 납 노출의 안전한 수준이란 없다그러나 무분별한 흙 섭취는 위험할 수 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에서 신생아의 혈중 납 농도를 분석했다(doi:10.1016/j.envres.2017.03.028). 임신기간 동안 흙을 섭취한 콩고민주공화국 여성들을 대상으로 출산 뒤 탯줄에서 얻은 혈액 샘플(제대혈)을 분석한 결과, 혈중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06
- 분해하는 효소가 애벌레의 침샘이나 장내 공생세균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효소를 찾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플라스틱 먹는 ‘환경 곤충’들이전에도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가 발견된 적이 있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애벌레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애벌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