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후기"(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고양이의 천연 소화제, 괭이밥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괭이밥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양이 밥’이라는 뜻이에요. 1820년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희가 지은 ‘물명고’란 책에 따르면, 고양이들이 소화가 잘 안 되어 속이 불편할 때 이 풀을 찾아먹는 걸 보고 ‘괭이밥’이라 부르게 됐다고 해요. 고양이들이 소화가 안 될 때 괭이밥을 찾는 데엔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공룡은 스테고사우루스지요.스테고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후기(1억 5000만 년 전~1억 5500만 년 전)에 살았어요. 몸 길이는 최대 9m, 몸무게는 2t으로, 검룡류 중에서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해요. 반면 몸 크기에 비해서 머리와 뇌의 크기는 매우 작아요. 그래서 지능이 낮은 ... ...
- [과학뉴스] 타조 닮은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09
- 박사 등 공동연구팀은 중국 장시성에 있는 간저우 지방에서 공룡 뼈화석을 찾았다. 후기 백악기(약 7500만 년 전)에 살았던 육식공룡인 오비랍토르다. 연구팀이 뼈 화석을 복원한 결과, 이 공룡은 통통한 몸에 커다란 날개가 달려 있고 목이 길다. 이들은 공룡의 이름을 미국 서던메서디스트대에서 ... ...
- [과학뉴스] 고인류 식인 풍습 증명할 증거 늘어나과학동아 l201709
- 런던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은 1987년 영국 서머셋주 고프스동굴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후기의 마들렌기에 살았던 인류의 뼈를 분석했다(위 사진). 뼈에서는 인간의 치아 표식과 두개골을 컵으로 사용한 흔적, 비정상적으로 잘려진 지그재그 형태의 표식 등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런 표식들이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화려한 외모를 자랑하는 공룡은 코스모케라톱스예요.코스모케라톱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7억 5000만 년 전~7억 6000만 년 전)에 살았던 뿔공룡이에요. 얼굴과 머리 위쪽에 총 15개의 다양한 뿔을 가지고 있는데, 지구상에 존재했던 그 어떤 공룡보다도 아름다운 공룡으로 손꼽히지요.그런데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월석을 보다니! 돋보기로 자세히 본 월석이 마냥 신기하고, 예쁘게 느껴졌어요.중생대 후기 백악기 초식공룡인 ‘트리케라톱스’의 진본 골격도 전시돼 있었어요. 엄청난 크기에 압도됐어요. 진본 골격이란 공룡 등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실제 뼈 화석이에요. 이 외에도 국내 최초로 전시된 것들이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06
- 트로오돈티드 초기 종과, 두개골과 다리는 후기 종과 유사했다. 연구팀은 초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전이종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현생 조류와 같은 비대칭적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시 이 공룡이 날 수 있었는지는 판단할 수 없지만,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05
- 이뤄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원시 수각류, 헤레라사우루스의 퇴장또 이번 연구에서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으며, 가장 오래된 수각류 공룡 중 하나로 꼽히던 ‘헤레라사우루스’를 용반류로 재분류했다.연구팀은 헤레라사우루스의 이빨 구조나 식성 등이 ‘파충류인 공룡보다는 소형 ...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만날 수 있어요. 주인공은 에드몬토사우루스예요.에드몬토사우루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6600만 년 전~7300만 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이에요. 무게는 4t, 몸길이는 13m, 두개골 길이는 1m까지 자랄 정도로 몸집이 매우 컸어요. 입 모양은 오리 주둥이처럼 넓적하지요.이 뼈화석의 가장 큰 특징은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03
- 극지해양연구소(AWI) 연구팀과 함께 아라온 호를 타고 동시베리아 대륙붕 해역에서 후기 제4기 빙하기 때 존재한 거대한 빙하의 흔적을 최초로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동시베리아 대륙붕에는 빙하기 때 빙하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정설처럼 믿어왔다. 그런데 해저 퇴적물을 통해서 통념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