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포"(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11
- 뒤엔 조선시대 화포를 조사했다. 거북선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도 거북선에 실린 화포 때문이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도 조선시대의 뛰어난 대포를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거북선과 거북선에 실린 대포를 복원해 직접 포격 실험을 해보고 싶다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09
- 넓어서 반동을 감당할 수 있었지만, 세키부네는 갑판이 좁고 배의 내구성이 약해 화포를 쓰기 어려웠다. 그에 맞서려는 듯, 해적왕 구루지마의 부하 하루는 뛰어난 실력으로 대장선에 초요기를 세우려는 군인을 쏘아 맞추고 이순신 장군을 노린다. 당시 왜군이 이런 뛰어난 화기를 가졌다면, 이순신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09
- 수 등을 계산했다. 한서대 수학과 이광연 교수는 “당시 도훈도는 산학자였다”면서, “화포를 쏘기 위해 사정거리를 계산하고 전투에 필요한 계산을 도훈도가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08
- 맞다!첫째, 불화살과 화포를 막기 위해 철을 덮었다.당시 군인들은 대부분 불화살과 화포를 이용해 적을 공격했어요. 나무배인 거북선에 덮개까지 나무로 만들었다면 더 쉽게 불에 타서 망가지게 돼요. 게다가 이동 중에는 거북선 덮개 위로 걸어 다니기 힘들기 때문에 불이 나도 군인들이 직접 불을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12
- 두 발로 걸은 거리가 길어 이 책은 다른 어떤 기록물보다 풍성하고 깊다.2007년, 저자가 화포 염습지를 지날 때였다. 그 전까지 들어갈 생각을 못했던 곳인데 걸어서 갈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만큼 뻘흙이 사라지고 육지가 됐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염습지에서 ‘습’자가 빠져 염지가 됐다.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10
- ‘신기전’영화는 조선의 새로운 화기 개발을 두려워한 명나라 황실이 극비리에 조선의 화포연구소를 습격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때 연구소 도감 ‘해산’ 은 신기전 개발의 모든 것이 담긴 ‘총통등록’ 을 외동딸 ‘홍리’ 에게 들려 피신시키고 자신은 자폭한다. 명나라는 계획에 실패하자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11
- 철갑선인 거북선을 100인치 스크린에서 실감나게 느낄 수 있다. 내부를 살펴볼 뿐 아니라 화포 발사를 가상 체험할 수 있다.중생대 공룡 화석 중에는 진품 비율이 90%가 넘는 초식공룡 에드몬토사우루스를 주목할 만하다. 길이가 12m에 이르는 이 공룡은 척추 뼈에 티라노사우루스한테 물린 이빨자국이 ...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과학동아 l200809
- 것은 ‘사전총통’이다. 화약의 힘으로 여러 발의 화살을 한꺼번에 날릴 수 있는 개인용 화포로 현대의 산탄총(샷건)과 유사하다. 길이 26.1cm, 구경 2.2cm 정도의 소형 화살(세전) 4개를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었다.사전총통은 소신기전과 유사한 성능을 갖췄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신기전이 로켓의 ...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과학동아 l200801
- 당당히 왕위에 오른 정조 이산. 그가 동·서양의 과학기술을 혼합해 당시 첨단무기였던 화포에도 맞설 수 있는 수원 화성을 건설한 이유는 어떤 위협에도 굴하지 않는 그의 의지를 만방에 선포하려는 것은 아니었을까 ...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618
- 발견합니다. 스페인의‘무적함대’는 중세의 바다를 지배했으며 그보다 더 우수한 배와 화포를 만든 영국은 16세기 이후 세계 최고의 강대국으로 떠오릅니다.무적함대유럽국가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기 시작한 16세기, 가장 우수한 함대를 가진 국가가 가장 강한 국가였다. 16세기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