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꽃
조화
생화
화훼
화촉
혼례
꽃나무
d라이브러리
"
화초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11
인공적인 느낌이 들지 않는다. 치훌리의 유리 정원으로 지금 바로 떠나 보자.온실 속
화초
보통 온실은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을 기르기 위해 따뜻하다. 그런데 여기 차가운 온실이 있다. 바로 치훌리의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다. 이 온실 안에는 더운 지방의 식물 대신 유리로 된 꽃이 벽면을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
과학동아
l
201308
장치, 자원 저장 장치 같은 생명활동 보조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토양을 깔고 나무,
화초
를 심는다. 나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물도 현지에서 생산했다. 달의 극지역까지 배수관을 설치한 뒤 극지 얼음을 녹여 물을 조달했다.달 지하의 흙속에서 물을 추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달 지하 흙을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02
어느 누구도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정보를 갖고 있어. 19세기에는 정원에서 자라는 흔한
화초
보다 치명적인 가지과 식물에 의해 살해된 희생자가 많았거든. 벨라도나가 대표적인 독성식물이지. 이번 모리아티 교수 사건에서도 홈즈의 식물학 연구는 우리의 추리와 수사를 더욱 빛나게 만들었어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05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재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려서부터 온실 속의
화초
처럼 고생하지 않고 자란 사람, 별다른 어려움 없이 승승장구 해온 사업가 등도 마찬가지다.비슷한 이야기를 카이스트 재학생들도 토로했다.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서지인씨는 “1학년 때 난생 처음 받아보는 ... ...
삐리삐리 웰컴 투 로봇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2
보고, 듣고,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사소통도 가능하단다. 정말 똑똑하지? 안녕! 난
화초
로봇이야. 나는 평소에 사람이 없을 때는 꽃봉오리를 닫고 가만히 있지만, 사람의 목소리가 들리면 꽃을 활짝 피우고 줄기를 이리저리 움직여.또 내 앞에 사람이 오면 ‘꾸벅’하고 인사도 한단다. 향기를 ... ...
매력이 주렁주렁 호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1
못 믿는 눈치인데? 그럼 지금부터 꽃보다 호박! 먹지 않고 눈으로 보기 위해서 키우는
화초
호박 F4 친구들을 소개할게!이색칼라배두 가지 색의 조화얏호! 드디어 내 아름다운 미모를 뽐낼 수 있다니 신난다! 우선 난 이름처럼 초록과 노랑 두 가지 색으로 이루어졌어. 그리고 서양의 배를 닮았다고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05
동력이 된다.물은 깔때기의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진다. 마당에 심은
화초
에 물을 줄 때 수도꼭지에 연결한 호스의 출구를 꽉 누르면 물을 더 멀리 보낼 수 있는 원리다. 하지만 빛은 속도가 빨라질 수 없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다. 이 연구는 초고감도 센서나 태양전지 효율을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10
토양을 중화시킬 뿐 아니라 식물에게 필수적인 10가지 원소 중 하나인 칼슘을 보충해
화초
가 싱싱하게 자란다. 탱글탱글 누드달걀 만들기 평소에는 불투명하고 딱딱한 껍질 때문에 달걀 내부를 들여다보기 힘들다. 깨뜨려서 볼 수는 있지만 중력의 영향으로 퍼진 노른자와 흰자가 아니라 동그란 상태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08
맨몸으로 저항하지만 속수무책으로 무릎을 꿇는다”고 말했다. 온실에서 자란
화초
가 외부로 나왔을 때 추위와 병충해에 약한 것과 같은 원리다.유아는 면역계가 성숙하지 않아 A형간염 바이러스 공격에 약하게 반응하고 넘어간다. 그러나 어른이 돼 면역계가 성숙하면 A형간염 바이러스가 인체에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아니다.요양원에서 행해진 실험결과는 의지, 즉 통제력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화초
를 주면서 한 집단에는 노인 스스로 돌보게 했고 다른 집단에는 직원이 돌볼 거라고 알려줬다. 6개월 뒤 조사한 결과권한을 부여받은 집단의 사망률은 15%인 반면 방관자 집단은 30%나 됐다. “어르신들은 그냥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