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제책
교정법
d라이브러리
"
해결법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07
그래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일에도 관심을 갖고 스스로
해결법
을 고민하다 보면 자신의 꿈도 계속 발전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9
정도의 평평한 전기 수신기를 만들 수 있다. 실용성이 한층 높아진 것이다. 이렇게 좋은
해결법
이 있는데 왜 이제서야 개발된 걸까. “루프코일이 성능이 좋으니까요. 지금까지 쭉 루프코일을 써왔으니까 다른 코일을 사용할 생각을 다들 못했죠.”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이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또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09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
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경로는 물론, 세상 모든 변화하는 것들을 속속들이 예측할 수 있게 될지. 편미분방정식의 앞으로 100년이 기대되는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04
어떤 지도라도 모두 4가지 색으로 나눠 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냈다. 결국 4색 문제의
해결법
이 증명된 것으로, 이 때부터 4색 문제가 아닌 4색 정리로 불리게 되었다.그런데 하켄과 아펠의 증명 방식은 일반적으로 수학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사뭇 달라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바로 ‘컴퓨터로 ... ...
수학 - 발상의 전환 '거꾸로 풀기'
과학동아
l
201201
많은 학생들이 증명문제를 어려워한다. 주어진 조건을 활용해 값을 구하는 문제는 익숙하지만 연역적 풀이가 필요한 증명문제는 경험이 없어 낯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많이 푼다고 극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체계적인 문제
해결법
을 익히자. ...
Controlling Our Dream
과학동아
l
201009
꾸려고 하는지, 혹은 특별한 꿈을 꾸려고 하는지 혹은 특정한 사람이나 문제에 대한
해결법
을 찾고자 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악몽을 멈추고 좋은 꿈으로 바꾸기 위해, 정신적 외상을 치유하기 위해서 꿈을 조종합니다. 두 번째 질문. 만약 특정한 사람 혹은 특별한 경험에 대해 꿈꾸고자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004
스포츠처럼 누구나 배우고 따라 할 수 있는 발명 이론을 제시했다. 발명 원리 40개, 표준
해결법
76개로 이뤄진 이 이론은 ‘모든 발명이 기술적인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핵심 개념으로 하고 있다. 칩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거품문제를 해결한 인텔의 기술과 초고층 아파트 엘리베이터의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09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이뤄지는 일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생각하고 문제
해결법
을 찾아내는 능력을 길러준다. 가장 두드러진 프로그램은 심화 수업이다. 심화 수업에는 조별로 주제를 정하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토론해 실험 방법을 결정하는‘과학이론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6
진척되면 젊은이들에게 주로 일어나는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을 비롯해 각종 난치병의
해결법
이 잇달아 등장할 전망이다.그러나 최근 2~3년 사이 터져 나온 성과에도 불구하고 김 교수는 상용화 전망에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당장 내년부터 약국에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치료제가 나올 것을 ... ...
2. 성인 몸에서 세포공장 찾는다
과학동아
l
200107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해결법
을 찾고 있다.인간의 장기와 비슷한 동물인 원숭이, 유인원, 돼지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는데, 부분적으로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식거부반응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 동물을 이용할 때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