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안
포구
d라이브러리
"
포문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09
삶을 어떻게 바꿀지 살펴봤다.이날 행사는 김경진 한국뇌연구원 원장의 기조강연으로 첫
포문
을 열었다. 김 원장은 “뇌의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말했다.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지능이 발생하는 방법을 알아내면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08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양자역학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은 이곳에서 다시 공격의
포문
을 연다. 1935년 포돌스키(Podolsky), 로젠(Rosen)과 함께 ‘물리적 실재에 대한 양자역학적 설명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출판한 것이다. 저자들 이름의 알파벳 첫 글자를 모으면 EPR이 되는데,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10
009년 10월 세계 1위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노키아가 특허를 꺼내 들며 애플을 상대로
포문
을 열었다. 업계 최고의 강자와 이제 막 휴대폰 시장에 진입한 지 3년도 안된 후발주자의 충돌이었다. 6개월 후인 2010년 4월 애플은 최초의 안드로이드폰을 제조한 대만의 HTC와, 6개월이 지난 후에는 모토로라와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02
전쟁에서 먼저
포문
을 연 쪽은 애플의 아이폰. 국내 마니아들의 폭발적인 성원에 힘입어 지난해 11월 출시되자마자 10만 대가 날개 돋친 듯 팔렸다. 삼성전자 ‘옴니아2’의 추격세도 무섭다. 파격적인 가격을 앞세운 삼성전자의 막강 마케팅은 옴니아2와 아이폰의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1월 ... ...
연세대 수시 2-1: 구술에서 논술로
과학동아
l
200908
1학기 전형이 대부분 폐지되면서 2010학년도 대학 입시의
포문
을 열게 된 수시 2-1 전형이 9월 초부터 시작된다. 여름방학이 끝나자마자 시작될 수시 2-1 전형 중 작년에 비해 눈에 띄게 달라진, 특히 논술의 비중이 커진 연세대 전형을 자세히 살펴봤다. 올해 연세대 입시가 작년과 크게 달라진 점이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03
구체화하는 브레인스토밍이었지만, 먼저 SF를 바라보는 양측의 시각 차가 부각됐다.먼저
포문
을 연 쪽은 천문학자들이었다. 이 박사는 “최근 SF에 등장하는 과학적 설정이 사실과 다르거나, 이론을 오해한데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는 지적과 함께 “SF가 과학적 현실감을 주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12
1911년에는 아예 고전물리학에 들어맞는 제2의 복사이론을 내놓았다. 결국 양자물리학의
포문
을 열었던 플랑크 자신은 자신의 변혁이 혁명이 되기를 원치 않았다. 프로이센의 엄격한 학자 집안에서 자라면서 생긴 보수성 때문에 쉽게 고전물리학을 거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04
이식하는 경우에는 성공하지 못했다.신경세포의 염색법을 발견해 신경과학 연구의
포문
을 연 프랑스의 카렐은 장기이식이 어려운 이유가 이식 후 혈액공급이 원활치 않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혈관을 봉합하는 기술을 고안했다. 그의 연구는 세월이 흐른 후 장기이식이 활성화되는데 밑바탕이 됐다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10
대한 태도는 매우 복잡하다. 우선 작용 양자에 대한 개념을 제창해서 양자물리학의
포문
을 열었던 플랑크 자신은 이런 변혁이 혁명으로 발전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즉 20세기 초 현대물리학 분야에서 나타난 혁명적 변화는 정작 창시자였던 플랑크 자신은 원하지 않았던 혁명이었다. 플랑크는 아주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06
돌아온 박문수는 “이충무공의 기록을 상세히 조사한 결과 거북선의 복판 좌우에 6문의
포문
이 있다”고 하고 임란당시 거북선은 주갑판에 노군과 사수(활쏘는 사람)가 위치하고 포수는 상갑판에 위치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증언은 거북선이 3층 구조로 1층은 수군의 침실과 군량 무기 창고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