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형"(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공기 덩어리들의 움직임과 같이 큰 규모의 자료는 물론, 각 지역별 토양의 종류와 수분, 지형적인 특징과 같은 작은 규모의 자료들까지 수집할 예정이지요.이를 통해 훨씬 정확한 기후 예측 모델을 만들 거예요. 또 이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할 예정이지요. UNIST 도시환경공학부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접어서 좁은틈을 지날 수 있지요.현재 PUFFER는 화성으로 파견되기 전, 지구 곳곳의 험난한 지형에서 실전 테스트를 받고 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수만 명의 적군이 몰려와도 막아낼 수 있었지요.체코의 초른슈타인 성도 1320년대에 곡류 지형에 지어진 요새예요. 성주인 리히텐버그 가문은 이 성을 기반으로 100년 넘게 힘을 키웠죠. 1463년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굶주림으로 항복하긴 했지만, 11개월 동안 정복당하지 않고 저항할 정도로 천하의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빙하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촘촘하게 전파를 쏘고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빙하 속 지형의 깊이를 알아냈지요. 그 결과 피의 폭포에서 최대 45m 떨어진 곳까지 바닷물이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아라비아 반도의 국가가 세계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사암이 많은 지형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속에 묻힌 생물의 사체가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이후 지층 사이를 흐르며 이동하다가 빈 공간인 ‘저류암’에 모이지요. 따라서 저류암은 석유가 스미기 쉬운 사암과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입력하면 주변의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게 돼요. 불이 난 곳의 지형과 나무의 종류도 중요한 정보죠. 이 정보들을 분석하면 시간대별로 불이 어디로 어떻게 번질지 예측할 수 있어요.◀ 이번 강원도 삼척시 산불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 산불 발생지에서(흰색 세모) 남서쪽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이후 지구 표면에는 오랜 시간에 걸쳐 산과 바다 등 다양한 지형이 만들어졌어요. 이런 지형들은 모두 지각에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과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 역시 각각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위에 존재하지요. 이들의 높낮이는 매우 큰 수치처럼 보이지만, 지구의 반지름인 약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09
- 완성하면 된다. 그렇다보니 야외에서 모션캡처 촬영을 진행할 경우 햇빛과 날씨, 주변 지형지물 등 환경의 영향을 받아 적외선 카메라가 마커를 제대로 읽지 못한다. 랭글랜즈 감독은 “야외 촬영을 위해 모션캡처 수트의 마커가 빛을 내도록 특수 제작했다”며 “특히 카메라 셔터의 타이밍에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09
- 로봇이 현장에 투입될 시기를 묻자 히로시 교수는 “웬만한 휴머노이드는 평탄하지 않은 지형엔 아예 접근할 수 없고, 들어 올릴 수 있는 무게도 적다”며 “재난 현장에서는 중장비 기반의 재난 대응 로봇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두 팔 달린 굴삭기 로봇은 내년에 개발이 최종 완료된다.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문 빌리지(Moon village), 루나(Luna)-27 관리 기관: 유럽우주국(ESA)임무: 달기지 건설, 남극 지형 탐사목표시기: 2022년(루나-27), 2020년대 중반(문 빌리지)발사체: 소유즈특징: 러시아, 중국과 다방면 협력 유럽우주국(ESA)은 2020년대 중반까지 달 표면에 영구 기지인 ‘문 빌리지(Moon village, 위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