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정"(으)로 총 1,0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날’이에요. 많은 사람들에게 오존층 파괴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1994년 유엔 총회에서 지정했지요. 지구 대기의 15~30km 부근에는 오존의 양이 많은 ‘오존층’이 있어요.오존층은 우리 몸에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해 줘요. 만약 오존층이 없다면, 우리는 심한 자외선 때문에 피부암과 백내장 등 여러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만난 삵과 끈끈이주걱이번 바이오블리츠가 열린 선운산생태숲은 2013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고창생물권보전지역에 속해요. 고창생물권보전지역은 운곡람사르습지, 서해 갯벌, 선운산, 운곡저수지 등 다양한 생태계를 갖춘 덕분에 동백나무숲, 장사송 같은 천연기념물과 수달이나 황새 같은 멸종위기 ... ...
- [Origin]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해양대기조사연구소과학동아 l201709
- 매달 전 세계의 주요 온실가스 농도데이터가 바로 이곳에서 나오죠. 세계기상기구(WMO)가 지정한 3대 ‘기준선(base line)’중 하나입니다. 그밖에도 해양대기조사연구소는 부이를 이용하는 ‘아르고(Argo)’, 관측선을 이용하는 ‘고-쉽(GO-SHIP)’ 등 세계 해양 관측 프로그램에 참여해 남반구의 관측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부리를 휘저어 먹이를 찾는 저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하얀 새가 긴 부리로 물고기를 잡고 있어요. 부리를 물속에서 휘저어 새우나 물고기를 사냥하는 저어새예요. 이 새는 대만이나 일본 남쪽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고 따뜻해지는 4월쯤 우리나라로 와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의 갯벌과 연안에 가까운 습지를 따라서 살다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08
-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감시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비정부기구(NGO)를 관리자로 지정하는 등의 대안이 있다”고 말했다. 기술이 성숙해지고 블록체인에 대한 법 체계가 구축돼 가고 있는 지금이야 말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선거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때다 ...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08
- 뜬 이른바 ‘콜로니얼 스타일’의 건물입니다. 1929년에 지어져 현재 국립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이런 건물을 연구소로 쓰다니’ 놀라는 분도 있을 겁니다. 사실 FRI는 1878년 영국황실산림학교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06년에 영국에서 온 산림 장교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지금의 연구소로 ... ...
- [과학뉴스] 인구통계학 (Demography)과학동아 l201707
- 월 11일 세계 인구의 날은 1987년 7월 11일 세계 인구가 50억 명을 돌파한 계기로 지정됐다. 30년 전만 해도 50억 명이 기념할 만한 숫자였던 것이다. 오늘날 인구는 73억 명을 넘어섰다. 2025년에는 80억, 2050년에는 100억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인구의 규모가 커지면 자연스럽게 인구문제도 증가한다.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07
-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광자 중 특정 순서의 광자들을 도청 확인용으로 지정해 사용한다”며 “사용한 광자(양자암호키)는 버리고 나머지 양자암호키를 이용해 데이터를 암·복호화 한 뒤 광통신망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주고받는 것은 디지털화한 정보인데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봄 소식을 전하는히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있는 우리나라 특산종이에요. 이런 이유로 2005년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했어요. 이후 자생지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2012년 해제됐지요.하지만 특산종은 우리나라에서 사라지면 지구상에서 멸종해 버려요. 그래서 여전히 국제적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07
- 밝혔다. 아산화질소 남용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셈이지만, 불법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사재기를 하려는 움직임까지 나타났다. 비뚤어진 호기심과 무지, 그리고 타인에게 미칠 피해는 안중에도 없이 유행에 편승해 돈을 벌려는 탐욕이 얽히고설킨, 우리 시대의 자화상이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