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서"(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합인재교육(STEAM)에 딱 맞는 딱스과학동아 l201203
- 수업이 그렇겠지만, STEAM은 특히 교사의 역할에 따라 수업의 질이 달라지므로 상세한 지도서를 넣었다. 이번에 출시되는 제품은 5인 또는 10인용 수업 키트이며, 올해 말까지 총 40종이 출시될 예정이다. 시앙스몰(www.scimall.co.kr)에서 3월 중순부터 구입할 수 있다 ... ...
- 어렵고 재미없는 과학실험은 가라!과학동아 l200909
- 구입하면 실험 준비는 거의 완료다. 키트 안에는 실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적혀 있는 지도서가 들어 있고 시앙스몰 홈페이지(www.scimall.co.kr)에서 수업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어 준비 시간을 길게 잡지 않아도 실험에 대해 알차게 예습할 수 있다. 가장 큰 매력은 한개당 800~3000원으로 ...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과학동아 l200507
- 4월에 펴낸 ‘새로운 물리탐구의 세계’는 박 교수의 그런 노력이 결실을 맺은 물리교육 지도서다. 학생들이 직접 물리 실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숨은 원리를 탐구하도록 꾸며졌고, 교과서에 없는 새로운 실험들을 다수 소개했다.“66페이지의 실험은 논문 연구를 기반으로 학습에 구현하기 위해 ...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과학동아 l200202
- 개발한 PSSC (Physical Science Study Committee) 물리 교과서, 읽기자료, 영상, 연구 논문, 교사용 지도서를 보면서 물리학과 물리교육에 대해 눈뜨고 신념을 갖게 됐어요. 우리나라 물리교육과에서도 PSSC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죠.” 박승재 교수가 평생 물리교육과 ...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과학동아 l199911
- 말한다. 그렇다면 학교현장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지도할까. 참고로 교사용 지도서에는 아지랑이처럼 퍼져 나간다고 쓰여있다.당연히 퍼져 나갈 것이라고 생각해 "곧 전체로 퍼진다"고 설명한다면 과학이 지향하는 탐구력은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을까. 자기가 관찰한 것을 근거로 문제를 ... ...
- 3. 사해문서의 숨은 뜻과학동아 l199808
- 뺀 구약성서가 모두 들어있었다. 메시아의 서, 하박국의 주석서(註釋書), 계율의 지도서, 라메크의 묵시록, 빛의 아들과 어둠의 아들과의 전쟁 등도 수록돼 있었다. 이 사본들은 제목만 알려졌고 실물은 사라졌던 것이다.사본들이 쓰여진 연대가 문제가 되자 여러 고대 문헌을 통해 연대를 추정하는 ... ...
-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과학동아 l199207
- 수 있는 풍부한 교사용 자료집 발간에 애써주길 바란다. 우선 학교현장에서 교사용 지도서를 이용하는 교사가 몇 명이나 되는지 알아보길 권하고 싶다. 예 1. 과학퀴즈 문제1. 녹음테이프에 정보저장을 위해서 사용되는 물질은?[답] 철입자나 산화크롬2. 합성세제가 비누보다 사용하기에 좋은 점은? ...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과학동아 l198906
- 다르다. 선생님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근거, 지도 내용의 통일을 기하려 하지만 교사용 지도서가 모든 문제를 다 일관되게 설명할 수가 없다. 또 어떤 분야는 그럴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3월1일의 하늘'에서 '솟아나는'이 '깃발'을 꾸미느냐 '몸짓'을 꾸미느냐의 따위이다.아무튼 TV수업은 논란이 있는 ... ...
-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학습자료의 다양화가 시급하다과학동아 l198704
- 접하면서 과학에 대한 관심과 기초소양을 가지도록 되어 있으나 과학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이외의 다른 교수 학습자료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현실에서 올바른 과학교육의 구현은 불가능하다하겠다. 교과서 이외의 학습자료가 없다실제로 과학학습에서 실험 중심의 ... ...
- 과학교육이 나아갈 길 과학자 배출만이 목적 아니다과학동아 l198607
- 할 것이다. 다음은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과학 교육 연구소'에서 제작한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되어 있는 과학과 교육 목표이다.1) 자연 현상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2) 자연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른다.3) 자연의 규칙성에 흥미를 느끼고, 과학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