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1,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떠나기 위해 들르는 터미널이라고 해요. 우리가 여행을 떠나기 전 버스를 타는 터미널이 정해져 있듯이, 우주 발사체들도 꼭 나로우주센터처럼 발사대를 갖추고 있는 곳을 거쳐야만 우주로 출발할 수 있거든요. 2013년, 이곳에서 처음으로 우리나라 우주발사체인 ‘나로호’가 우주로 출발했고, 202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하지요.따라서 워터슬라이드 설계자들은 복잡한 계산과 수많은 실험을 통해 물의 양을 정해요. 보통 깔때기 안으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은 1초당 450L 정도랍니다. # “야호~, 시원~하다!”오늘 물놀이는 정말 즐거웠어. 다 안전 수칙을 지켰기 때문이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름을 위해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파도풀을 포함한 수영장을 지을 때는 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도록 정해져 있어요. 수영장에서 나온 물은 여과기를 통해 머리카락과 과자봉지 등 이물질을 제거한 뒤, 염소를 이용해 살균하는 과정을 거치지요.염소는 살균이나 소독에 쓰이는 대표적인 물질이에요. 염소를 물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수 있어서 어디에서든 날씨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매일 매일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정해 놓고 꾸준히 날씨를 관측하고 기록하며 기상학자의 꿈을 키워 보세요!‘화산 폭발’ 모형으로는 근사한 화산을 만들어 볼 수 있답니다. 종이로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석고붕대를 붙여 주기만 하면 손쉽게 ...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소를 물고 끝까지 버티는 역할을 했지요. 그러나 19세기에 불 베이팅이 불법으로 정해지면서 집에서 기르는 반려견이 되었답니다.주름이 많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나와 있어서 사나워 보이지만, 불도그는 매우 침착하고 온순한 성격이에요. 용감하고 주인에게 충실해서 집을 매우 잘 지킨답니다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09
- 문제를 생각해 보자. 고전역학에서는 ‘지우개가 책상 위에 있다’처럼 명확하게 위치가 정해진다. 그런데 입자 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가 되면 명확한 위치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책상 위에서도 발견되고 책상 아래에서도, 천장에서도 발견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를 여러 번 반복해서 관측하다 보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착용해 보기도 했어요. 우리가 근육을 사용하면 미세한 전류가 나오는데, 이 전류를 측정해 힘의 세기를 알아내는 거예요. 센서를 팔에 붙이고 주먹에 힘을 꽉 쥐자, 화면에 그래프가 요동치며 힘의 크기를 알려 줬답니다. 지면반력 측정기를 밟으면 누르고 있는 힘이 화살표로 표시되는데, 힘이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실제 생태와 비슷한 모습을 통해 자연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도 하고요.관람객들은 정해진 관람로를 따라 움직이다 운이 좋으면 열대우림관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동물들을 구경할 수 있지요. 남아메리카에 사는 악어과 동물 ‘카이만’이나 거대쥐 ‘카피바라’를 볼 수도 있고, 따뜻한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09
- 경우도 있던데, 나는 그럴 생각도 안 들더라. 버스가 자동주행이 먼저 적용된 건 노선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지. 택시라고 그렇게 안 되겠어? 조만간 가야 될 장소만 입력하면 택시도 그렇게 될게 뻔한데, 그 짧은 기간 동안 자존심 좀 세워보겠다고 택시 운전으로 갈아 타? 오히려 걱정되는 건 평생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09
- 대형망원경사업단 과학연구그룹 연구원은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 정해져 있다”며, “그 너머 우주에 경계가 있는지, 없는지 알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우주의 크기를 가늠해 보고, 일부분이라도 어떤 모양인지 관측해보는 정도뿐이다. 일단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