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남"(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005
- 번째로 시도한 관측은 해가 지고 난 직후(혼시각)에 자오선(정북에서 머리 위를 거쳐서 정남으로 그은 큰 원) 상에서 빛나는 별, 즉 혼중성을 찾고 이것이 자오선에서 벗어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이번 관측에서 기준으로 삼은 혼시각은 오후 8시 2분이었고, 목표 천체는 쌍둥이자리 카스토르 ... ...
- 조선만의 하늘 갖겠다과학동아 l200810
- 이런 세종의 지원 아래 1432~1438년 자격루, 흠경각루, 대간의, 소간의,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일정성시의, 규표 등을 발명했다. 그 중 앙부일구(1434년)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시계로 ‘앙부’는 ‘하늘을 바라보는 솥’을, ‘일구’는 ‘하늘의 그림자’를 뜻한다. 말 그대로 시간과 ...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과학동아 l200504
- 태양의 반대편에 있어서 햇빛의 간섭을 가장 적게 받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또, 밤 12시에 정남에 위치하므로 고도도 가장 높으며 가장 오랜 시간 밤하늘에 떠있다.행성은 충일 때 관측해야4월 4일은 목성이 충의 위치에 오는 날이다. 일년 중 가장 관측하기 좋은 때가 된 것이다. 올해의 목성은 황도 1 ...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과학동아 l200503
- 때문이다. 이는 달의 움직임을 느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네번째는 성식의 식심이 하늘의 정남, 즉 자오선 위치에서 일어나야 한다. 이런 조건일 때 가장 시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런 조건을 다 만족한다면 성식은 최대 1시간 54분간 일어날 수 있다. 안타레스가 달에 가린다3월 31일 새벽, ...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과학동아 l200502
-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구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한 지점은 밤하늘의 한 지점과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 지구중심에 ...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과학동아 l200401
- 삼아 시간을 측정한 일성정시의, 원과 막대 모양의 틀을 자유롭게 움직여 시간을 읽는 정남일구, 여름에는 앞면에서, 겨울에는 뒷면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현주일구도 세종 때 만들어진 해시계다.현재는 하루가 24시간이지만 조선시대 시계에는 하루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 ...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과학동아 l200307
- 러시아의 발사장들보다는 유리한 조건이다. 외나로도 우주센터에서는 적도를 향해 정남 방향으로 발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로켓을 발사했을 때 추진이 끝난 기체는 어디에 떨어질까. 소형위성을 쏘아올리기 위한 3단 로켓을 발사한다면 가장 먼저 추진이 끝난 1단은 남해안 50km 연안에 떨어진다. ...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과학동아 l200207
- 아래 그늘로 들어가서 일단 건물의 꼭대기가 태양을 가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정남 방향의 하늘은 트여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하늘을 쳐다보면 훨씬 더 금성을 찾기가 편리할 것이다. 소형 쌍안경을 활용하면 좀더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쌍안경을 사용할 경우에는 태양쪽으로 쌍안경이 ...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과학동아 l200109
- 아니라 가상의 점인 춘분점을 찾아보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춘분점은 추분날 밤 12시에 정남 방향에 위치한다. 추분날 자정 무렵 밖으로 나가서 하늘에서 춘분점을 찾아보자. 2000년 춘분점은 황도상의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에 위치해 있다. 물고기자리의 서쪽 물고기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과학동아 l200107
- 건축물로 알려진 파리와 그리니치의 천문대도 하늘의 자오선(어떤 지점에서 정북과 정남을 따라 천구에 그은 선)과 일치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이들도 각각 6′과 9′의 오차를 보인다는 사실을 보면 대피라미드의 정밀한 방향성은 미스터리라 할 수 있다.고대 이집트인들은 어떻게 이 정도로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