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접종"(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주사는 뾰족한 바늘을 피부에 찔러 약을 몸속에 직접 넣는 방법이에요.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아프기 때문에 꺼리는 사 ... 약효에 문제가 없다”며, “날씨가 덥고 냉장 시설은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백신 접종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07
- 홍수, 재난 등 위기에 대비해 비축분을 확대하고 있다.이외에도 IVI에서는 어린이에게 접종할 수 있는 신종 장티푸스 접합 백신(Vi-DT)을 개발해 임상 시험을 하는 한편, 국내 제약업체인 SK케미칼과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에 있는 백신제조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이 백신은 3~4년 내에 상용화될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07
- 더 많은 사람들이 병에 걸려 치료제를 구입하기를 원할 것이다. 한마디로 대규모 백신 접종 프로그램이 거대 제약회사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다.모든 사람에게 100% 안전한 백신은 없다. 하지만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는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단지 백신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
- “의료 및 보건 당국을 믿으세요. 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들은 꼭 예방접종을 하세요.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는질병에 자녀뿐만 아니라 다른 어린이를 노출시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더 읽을거리WHO Recommendations Regarding Vaccine Hesitancy(Vaccine Volume 33, Issue 34,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07
- 알게 된 뒤에도 크게 변화(61.02%)가 없었다. 하지만 개인주의가 강한 국가에서는 백신 접종 의향(44.99%)이 크게(56.61%) 높아졌다(doi:10.1038/s41562-017-0056).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은 집단면역을 낮추고, 다른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가 된다. 너무 어려서 백신을 맞을 수 없는 신생아와 알레르기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07
- 존재하는 아주 많은 항원을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그렇다면 왜 백신을 한 번에 접종하지는 않을까. 이는 백신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약제가 서로 섞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doi:10.1542/peds.109.1.124). 현재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 26가지콜레라, 뎅기열, 디프테리아, A형간염, B형간염,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06
- 코너에서 백신음모론을 옹호하는 비과학적인 책이 버젓이 팔리고 있다”며 “예방접종 거부는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를 위협하기 때문에 (바로잡을 수 있도록) 과학기술인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생태학자인 피오트르 야브원스키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미국은 환경 분야에서 리더십을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04
- 딱 한 가지 종류의 미생물만이 살고 있다. 누룩을 만든 뒤 하나의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접종하기 때문이다. 이 미생물은 금세 누룩 생태계의 ‘왕’이 된다. 자연 속에서 자라난 여러 미생물이 혼합돼 술이 만들어지는 우리나라 양조 법과는 전혀 다르다.가장 향기로운 효모는 누굴까식품연에서는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03
- 일어날 확률은 5% 이내”라고 말했다. 확률이 극히 낮은 부작용을 걱정하기보다는 백신을 접종해 구제역을 예방해야 한다. 3 효능이 떨어지는 ‘물백신’이다?경기 연천군에서는 수의사가 직접 백신을 맞혔는데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백신 자체의 효능이 떨어지는, 일명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강한 닭콜레라균을 주사했어요. 그 결과 일반 닭은 닭콜레라에 걸리고, 약해진 균을 접종했던 닭은 조금 앓다가 금방 나았지요. 약해진 세균으로 병을 가볍게 앓고나면 그 병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다는 걸 알아낸 거예요. 파스퇴르는 이 약하게 만든 세균에 ‘백신’이라고 이름 붙였지요.이후 많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