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가감염"(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09
- 대중교통을 탈 때 주섬주섬 교통카드를, 혹은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를 꺼내는 일은 단순하지만 꽤나 번거롭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열쇠를 잃어버리거나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아 집에 들어가지 못한 경험도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최근 이런 불편함을 없애고자 비밀번호가 들어있는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08
- 윽! 이 징그러운 녀석이 내 뱃속에서 영양분을 뺏어 먹으며 기생하고 있다니,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매년 봄, 가을에 엄마가 사다주시던 기생충 약을 안 먹은지 얼마나 됐더라. 회도 육회도 좋아하는 내 뱃속에 기생충이 가득 꿈틀거리고 있는 건 아닐까. 우웩!흔히 볼 수 없지만, 그나마 있는 기생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07
- 20세기 초만 해도 50세에 불과했던 인류의 수명이 최근 80세 안팎까지 높아진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항생제 개발, 정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백신의 사용이 꼽힌다. 감염병에 의한 영·유아 사망률 감소와 인구의 증가에 백신이 절대적으로 이바지해왔음을 수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보여주고 있다.백신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05
- 1전차 안에는 운전사와 미나를 빼고도 아직 다섯 명의 승객들이 남아있었다. 시골에서 처음 올라왔는지 창에 얼굴을 박고 신기한 듯 주변의 콘크리트 건물들을 올려다보고 있는 전통의상 차림의 남자 노인 두 명, 태블릿으로 지루해보이는 서류들을 건성으로 체크하고 있는 회색 공무원 제복 차림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03
- 찰스 다윈은 맹장, 정확하게 말하면 맹장 끝에 붙어 있는 작은 돌기인 ‘충수’가 있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론을 세웠다. 그는 유인원의 먼 조상은 잎사귀를 먹고 살았기 때문에, 섬유소를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사는 큰 맹장이 필요했다고 가정했다. 시간이 지나 유인원의 조상들은 소화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스웨덴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월 3일부터 5일까지 2016년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됐어요. 올해 노벨과학상은 세 분야 모두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은 ‘미시세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밝혀낸 과학자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답니다. 우선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자가포식’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과학동아 l201607
-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자가포식(Autophagy) 작용이 일어나는 세부 과정을 밝혀 6월 15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발표했다.자가포식은 세포가 영양분 결핍 상황에 처했을 때 노화된 소기관 등 불필요한 물질을 분해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기능이다. 감염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제거해 체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07
-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탐사에 뛰어들면서 화성여행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4월 19일 미국 온라인매체 ‘마더보드’는 ‘왜 우리는 여성 우주비행사를 필사적으로 연구해야 하는가’라는 기사를 썼다. 화성에 가기 전 남성과 여성의 건강 차이를 명확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지카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다. 염기서열은 1만 개 정도로, 1만8000개인 에볼라보다 짧다. 염기서열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같이 형태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NS1, NS2A 같이 기능을 하는 단백질로 크게 나뉜다. 기능성 단백질은 숙주 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고 다시 조립하는 역할을 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