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림
유생
사림
d라이브러리
"
유학자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무덤 속에서 되살아난 조선시대 의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가채나 족두리를 머리에 쓰는데, 가채는 무게가 2kg이나 된다고 해요!▼ 백색 심의-복건
유학자
는 검소해야 해서 흰색 예복을 입었어요. 넓은 소매 폭에 손을 넣어서 손을 보여 주지 않는 것이 예의였다고 해요. 백색 심의에는 검정색 복건을 쓴답니다.▼ 홍색 조복-금관의례용 예복이고, 금색 양관을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08
달 전, 일본 에도시대
유학자
가 쓴 논어 주석서 ‘논어징’을 읽다 한 대목을 트위터에 올린 적이 있다.“사람에 대해 알면 안다고 하고 모르면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사람을 아는 것이다(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위정 편)원래 농담을 하려던 거였는데, 올리자마자 논어와 한비자에 대한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12
과정이다. 심신의 건강함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영위하겠다는 궁극적 지향점은
유학자
들과 같지만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정·기·신론(論)은 현대의학에서 육체적 질병을 정신적 원인과 연관지어 연구하고 치료하는 정신신체의학(精神身體醫學)과 같다. 즉 의술의 본질이 정신수양과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07
가치관이 같이 작용하여 남을 돕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고유의 특성에 대해 중국
유학자
맹자는 ‘우물에 빠지려는 어린 아이를 보고 구해주지 않을 자가 어디 있겠는가’라고 말한다. 따라서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적자생존의 원칙이 대부분의 생물들의 이타적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나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7
말했다.2005년 김 박사는 ‘이제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제마는 19세기 말 조선의
유학자
이자 의학자로 병증과 약리를 체질의 관점에서 새롭게 정리한 사상의학의 창시자다. 사상의학은 유전자라는 개념만 없을 뿐 개인의 체질에 따라 처방을 내리는 한국판 ‘맞춤의학’인 셈.문제는 체질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12
전국을 쟁패하려 할 때는 오성이 기(箕)수에 모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또한 조선후기의
유학자
중 일부는 오성이 학문을 관장하는 별자리인 규(奎)수에 모여 송나라에서 주자학이 융성했고, 황제의 자리를 뜻하는 실(室)수에 모여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 오랑캐가 득세했다는 식으로 해석하기도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08
최한기는 이를 물질이 아닌 기(氣)라고 오해했다. ‘성기’라는 말에 쓰인 ‘기’가
유학자
들이 생각해왔던 기와 다른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려줄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순전히 책으로만 지식을 접했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17세기 초부터 중국에 진출한 예수회 선교사와 중국인 ... ...
뉴턴도 몰랐던 중력 원인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0705
채우고 저울추도 거꾸로 늘어질 것이다. 천하에 이런 이치가 있겠는가.”어느 조선
유학자
의 비판이다.중력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조선학자 남극관(南克寬, 1689~1714)은 계란위에서 움직이는개미를 생각했다. 달걀을 공중에 매달아 놓고 개미를그위에 올려놓으면 개미가 달걀의 아래쪽에서 거꾸로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03
찾아보니 그 안에 있는 방법과 어머니의 방법이 모두 맞아떨어졌다.19세기 초반 조선의
유학자
이자 수학자인 홍길주(洪吉周, 1786~1841)의 어머니 영수합서씨(令壽閤徐氏)의 수학적재능에 대한 일화다. 여기서 ‘산학계몽’(1299)은 중국의 수학자인 주세걸(朱世傑)이 지은 책으로 세종대왕도 신하인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12
바탕으로 해서 수학과 주역철학을 결합한 독특한 수리철학을 정립했다. 그는 수학을
유학자
가 마땅히 추구해야 할 지식으로 생각했다. “수는 진리에 이르는 길이며, 세상의 수학적인 질서를 보면 리(理)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피력하기도 했다. 마법진에 대한 그의 관심은 수학을 통해 우주의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