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실"(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8
- 여러 실험을 통해 세포가 분화해 특정한 기능과 모양을 갖게 되는 것은 유전물질이 유실돼서가 아니라, 서로 다른 유전자가 발현되기 때문임을 밝혀냈습니다. 거든은 여기에 기여한 공로로 2012년에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거든의 실험에서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04
- 한 예로 건물 안에 수십~수백 m2 황토고원을 재현한 뒤 인공 강우를 뿌려 농작물과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실험도 하고요(역시 대륙의 스케일!), 건조한 토양에 적합한 유전자변형 농작물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황토고원 현장에서 다양한 경사지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연구도 이뤄집니다.한국과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09
- 지점에 토층의 침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계를 설치해 3년째 관찰하고 있다. 흙이 유실되는 정도를 보면 독도의 토층이 어느 정도 속도로 침식되는지, 낙석이 어느 정도로 진행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독도의 평균 토층은 두께가 10~15cm로 육지에 비해 훨씬 얇다. 게다가 흙 입자가 주로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07
- 말했다. 이규열 교수는 “배를 바로 세우는 과정에서 미수습자의 사체가 훼손되거나 유실될 수 있다”며 고개를 저었다.가장 우려스런 부분이다. 세월호를 들어 올리는 와중에 우현에 설치한 인양점(줄을 결속한 부위) 중 일부가 뜯어지거나, 줄이 끊어지면 대형사고다. 무거운 짐을 여러 명이 함께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16
- 그 열차가 도착하는 마지막 역에 연락할 것.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났다면? 해당 운영기관 유실물 센터로 바로 전화해 보자~!우리 지하철도 더 빨리, 더 편리하게!GTX나 KTX 같은 고속열차가 발달한다고 해도, 짧은 거리를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가는 지하철은 여전히 우리의 삶 속에 있을 거예요. 그것도 ... ...
- [knowledge] 바빌로니아인의 실수, 60진법이 원인과학동아 l201411
- 만들 지점토가 풍부했기 때문이다. 점토판은 이집트의 파피루스와 마찬가지로 화재 등에 유실되지 않고 보존이 쉬워서 지금까지도 수십만 개가 전해 내려온다. 1846년 롤린스 경이 베히스툰 지역의 고대 양각 비문을 해석해 바빌로니아인의 쐐기문자를 해독했고 그 가운데 약 300개가 수학에 관한 ...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과학동아 l201404
- 특히 보안 기술이 중요하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쌓이는 정보가 늘어날수록 정보가 유실되거나 유출되었을 때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또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사물인터넷, 만물인터넷에서 아무리 많은 정보가 나온다 한들 그 중에서 필요한 것을 골라낸 뒤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10
- 태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강한 식물이다. 토양을 덮고 자라기 때문에 장마에 의한 토양유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농업기반이 약한 가난한 나라나 전쟁이 잦은 나라에서 쉽게 재배돼 왔다.특히 고구마는 대충 심어도 잘 자란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도 베트남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07
- 잣나무잣나무는 성장이 빠를뿐더러 가을에 식용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이런 나무를 ‘유실수’라고 한다. 같은 이유로 밤나무도 우리 주변의 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자연숲에는 어떤 식물이 살까?자연숲은 오랜 세월 식물 스스로 일궈낸 기름진 토양 위에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한 자생종이 ... ...
- 뜨거워진 북극, 세계의 화약고 될까과학동아 l201307
- 온난화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그 위에 설치한 파이프라인이 훼손되고 수송도로가 유실되는 등 추가 비용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셰일 가스, 오일샌드 등 비전통 석유자원도 북극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11년 비전통 석유는 전체 석유생산량의 4.6%에 불과했지만 20여년 뒤인 203 ... ...
12345 다음